인천항이 전국 28개 무역항 가운데 2005년 연간 컨테이너 물동량 증가율 1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인천항만공사(IPA·사장 서정호)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인천항 컨테이너 처리 물동량을 집계한 결과, 총 1,152,936TEU를 처리해 유일하게 전국 주요항 가운데 증가율 20% 이상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 2004년 물동량 934,954TEU와 비교해 무려 23.3% 증가한 수치다. 이같은 인천항 컨테이너 물동량의 증가세는 신규 항로의 개설과 함께 대중국 컨테이너 물동량이 전년 대비 48%나 폭증한데 크게 힘입은 것으로 공사 측은 분석했다. 특히 인천항이 지난해 취급한 컨테이너 물동량 가운데 對 중국 물동량은 667,816TEU로 전체 물동량의 약 58%를 점유하고 있다. 중국 이외의 주요 교역국인 홍콩이나 일본, 대만 상대 물동량은 전년보다 소폭 줄어들었다. 그러나 동남아항로가 신규 개설되면서 말레이시아, 필리핀 등 기타국 상대 물동량은 18% 증가했다. 서정호 사장은 “인천항 종사자들이 한마음 한뜻으로 노력해준 결과 이같은 성과를 이뤄냈다”며 “올해는 중국 물량을 더욱 늘리는 한편 항로 다변화를 꾀해 목표인 145만TEU를
대한해운(대표이사 이진방, www.korealines.co.kr)이 176,800 dwt급 벌커선 한 척을 인수했다고 12일 밝혔다. CALADIUM(칼라디움)’으로 명명된 이 선박은 길이 289m, 너비 45m로, 항해 속력 15Knots다. 대한해운 측은‘칼라디움’호가 경쟁력 있는 선가에 건조됐고 업황 호조기에 영업에 투입됨에 따라 회사 영업이익 창출에 일조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일본 나무라 조선소 이마리(Imari) 쉽야드에서 열린 이날 신조 선박의 명명식에는 장학세 회장을 비롯한 회사측과 조선소 관계자 60여 명이 모였다. 장학세 회장은 이날 “훌륭한 선박의 건조에 최선의 노력을 아끼지 않은 조선소측의 노고에 감사한다”며 “이 선박이 대한해운의 영업경쟁력 강화에 한 몫을 담당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10월 한국가스공사의 신규 LNG전용선 두 척의 운영*관리 선사로 선정된 대한해운은 회사의 중장기 선대확장 정책에 따라 지난 2003년부터 케이프사이즈, 핸디맥스사이즈, 핸디사이즈 5척의 벌커를 인수한 바 있으며, 올해에는 3척의 케이프사이즈 벌커를 추가로 인수할 예정이며, 이번에 인도된 선박은 그 첫번째이다. 편집국
동해항과 러시아 자루비노항을 연결하는 정기 국제카페리 항로가 연내에 개설된다. 12일 해양수산부는 러시아와 동해항-자루비노항을 연결하는 국제카페리 항로를 개설키로 합의하고, 국내 운항사업체로 대룡항운(대표 이우극)을 지정했다고 밝혔다. 대룡항운은 지난해 3월 해양부에 한러 합작투자 사업의향서를 제출해 러시아 당국과 이미 협의를 마친 상태며 앞으로 취항에 필요한 준비를 갖춰 연내에 운항을 개시할 예정이다. 대룡항운은 현재 평택-영성간 한중항로 운항선사로, 현재 이 항로에 운항중에 있는 대룡호(8,091톤, 여객정원 834명)를 회수해 개설된 한러항로에 주 2항차 투입 운항할 계획이다. 대룡항운은 앞으로 이 항로를 통해 한*러 관광객의 본격적인 유치와 함께 러시아 연해주에 대단위 중고자동차 판매*보관*정비 시설을 갖추고 국산 중고자동차의 공급기지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또 자루비노항에서 시베리아 횡단철도(TSR)을 이용한 러시아 내륙 수출입 물량의 운송과 러시아 연해주 지역에 임산물과 농수산물 가공공장, 레미콘, 참숯 생산가마 건립 투자 등으로 신규 소요 물량을 창출하고 동해자유무역지역의 대러시아 원자재 수입 물량을 적기에 운송해 나간다는 복안이다. 편
신항 명칭을 두고 불거졌던 해양부와 경남도간의 갈등이 해결의 실마리를 찾게 됐다. 11일 오거돈 해양부 장관은 김태호 경남지사, 김학송 한나라당 경남도당위원장을 만나 ‘신항 관련 경남지역 지원방안’을 발표했다. 해양부는 지난달 19일 신항만의 공식명칭을 ‘신항(영문명칭 Busan New Port)’으로 확정한 바 있다. 하지만 경남도는 정부가 확정한 신항은 부산항 항계 내 하위항 명칭으로 부산이 주장하는 부산신항과 같은 개념이기 때문에 절대 수용할 수 없다며 강력 반발했으며, 오는 19일 신항 개장식도 물리력을 동원, 저지하기로 했었다. 지원방안에 따르면, 최종적으로 사법적 판단에 따라 결정하되, 올해 말 준공되는 추가 3선석 항만부지의 임시관할청의 등록은 경남도로 지정한다. 또 웅동지구 준설토 투기장(195만평)의 경우 무역항 항만배후단지 개발 종합계획 수립용역(해양부 시행)에서 서측 컨테이너부두를 포함한 최소한의 물류부지 면적을 산정한 후, 잔여부지는 재경부와 협의하여 무상양여하거나 관리권 위임도 추진하기로 했다. 이밖에 부두별 명칭과 관련해선 행정구역 경계획정 후 경남도의 의견을 수용하기로 했으며, 진해항 개발계획과 관련해선, 기존 진해항이
대우조선해양이 지난 1일 새해 첫 LNG선을 인도한 데 이어, LNG-RV(LNG Regasification Vessel, LNG 해상 터미널 탑재 액화천연가스 운반선) 계약도 성공함에 따라 병술년 힘찬 출발을 기대할 수 있게 됐다. 11일 대우조선해양(대표 정성립, www.dsme.co.kr)에 따르면, 벨기에의 엑스마社(Exmar N.V)와 150,900 m3의 LNG를 실을 수 있는 LNG-RV 1척을 약 2억 6천만 달러에 수주했다. LNG-RV는 천연가스를 액화된 상태로 실어 나르기만 하던 기존의 LNG선 위에LNG 재기화 설비 등 해상 터미널 기능을 탑재, 해상에 정박한 채 천연가스를 공급할 수 있는 신개념 선종이다. LNG-RV는 육상에 대규모 설비를 건설하지 않고도 해상에서 천연가스를 공급할 수 있도록 좁은 LNG선 위에 육상 터미널이 갖고 있는 모든 기능을 탑재하고 있다. 이 선박에는 액체상태의 천연가스를 기화하기 위한 재기화 시스템, 해상에서 안정적으로 천연가스를 하역하기 위한 선박계류시스템과 위치 제어 시스템, 천연가스를 하역하는 하역시스템 등 각종 최첨단 기술이 적용됐다. 이 선박이 도입됨에 따라 막대한 육상 시설 투자와 환경 파
오거돈 해양수산부 장관은 설 명절을 앞두고 중앙행정기관, 국영기업체, 대기업 및 중소기업, 전국의 해양수산관련 업*단체 등 총 2,000여 곳에 우리 수산물을 애용해 줄 것을 요청하는 서한을 보냈다. 오 장관은 서한에서 “이번 설 명절에는 건강에도 좋고 맛도 좋은 웰빙 우리 수산물을 선물로 활용해 따뜻한 정도 나누고 내수 경기 진작에도 일조하자”고 호소했다. 특히 “최근 수입 수산물의 범람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최근 고유가에다 고등어, 갈치 등의 대량생산으로 인한 어가하락 및 소비부진이 겹쳐 어업인들의 고통이 그 어느때보다 심각하다”며 “설 선물로 우리 수산물을 활용하면 어업인들이 큰 힘을 얻을 것”이라고 말했다. 오 장관은 또 해양수산부가 지원하고 한국수산회(사)가 운영중인 순수 국산수산물 전문쇼핑몰인 인터넷수산시장 ‘피쉬세일(Fishsale.co.kr)’과 수협 ‘바다마트(shop.suhyup.co.kr)’에서는 품질 좋은 우리 수산물을 10~20%할인 판매하고 있다며 이곳을 애용하면 시간과 비용도 절약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고 소개했다. 편집국
대한해운(대표이사 이진방, www.korealines.co.kr)은 지난 3일 ISO 14001:2004(환경경영시스템) 인증을 획득했다고 11일 밝혔다. 대한해운은 이번 ISO 14001:2004 인증을 통해 보다 체계적인 환경오염 관리가 가능하게 됐으며, 대기 오염방지와 폐기물 생성 최소화 및 자원절약 등을 전사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실천할 계획이다. 이에 앞서 대한해운은 국제화에 대비하기 위한 경영전략으로 품질경영시스템(ISO 9001:2000), 안전관리적합증서(DOC), 선박안전관리증서(SMC) 등의 인증을 획득했으며, ISO 14001:2004 의 추가적인 인증으로 안전, 품질, 환경 전 부문에 걸쳐 고루 국제규격에 부합하는 시스템을 갖추게 됐다. 편집국
인천항과 중국 위해(威海)를 오가는 정기 컨테이너선 서비스가 주 3항차로 확대된다. 10일 인천-위해간 정기 컨테이너 항로를 운영하고 있는 한성라인은 오는 22일부터 기존 주 2항차 서비스에서 주 3항차로 서비스를 확대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화요일과 목요일에 출발하던 인천-위해 컨테이너선은 매주 화요일, 목요일, 일요일 등 매주 3차례 인천항을 출발하게 된다. 이 항로에는 공동운항 선사인 장금상선 소속의 시노코 인천호(3,625톤/180TEU급)가 투입된다. 그동안 인천-위해 항로에는 한성라인과 함께 위동항운의 카페리선이 주 3항차 운항해 왔으나 양사간의 마찰이 있어왔다. 하지만, 양사는 세부 협상을 벌인 끝에 스케줄과 선복량 조정에 극적으로 합의하면서 컨테이너선의 항차수 확대가 가능해졌다. 위동항운의 카페리선인 골든브리지Ⅱ호(26,463톤/252TEU급)는 기존과 마찬가지로 매주 월요일, 수요일, 토요일 등 3항차 운항한다. 이에 따라 인천-위해 항로는 매주 금요일을 제외하고는 주 6일 운항하는 실질적인 데일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 편집국
대한해운(대표 이진방, www.korealines.co.kr)이 포스코의 ‘2006 원료부문 우수공급사’로 선정됐다. 10일 대한해운에 따르면, 지난 5일 원료, 설비, 자재 부문의 우수공급사를 초청해 열린 신년간담회에서 대한해운은 포스코로부터 감사패를 전달 받았다. 한편 국내 최대 전용선사로 자리를 확고히 하고 있는 대한해운은 지난 1976년 포스코와 장기 해송계약을 맺은 이후 투입 선대를 확장, 2006년 현재 총 10척의 벌커를 투입, 포스코 물량의 약 30%을 전담하고 있다. 편집국
부산항 감만부두 대한통운터미널이‘올해의 부두’로 선정됐다. 10일 부산항만공사에 따르면, 최근 부산항 컨 터미널을 대상으로 실시한 생산성 평가결과에서 감만터미널이 가장 높은 점수를 획득했다. BPA가 항만물류전문가 등으로 평가단을 구성해 실시한 이번 평가에서 감만 대한통운터미널은 지난해 한 개 선석에서 95만7000TEU의 컨을 처리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또한 컨 차량 반출입 시간도 평균 19분으로 경쟁항보다 최소 6분 이상 짧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 터미널의 지난해 컨 처리량은 홍콩 콰이청항 허치슨터미널과 싱가포르 파시르판장터미널의 선석당 연간 처리량(65만~68만TEU)을 크게 웃도는 것으로, 이는 생산성이 매우 높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이와 함께 감만 대한통운터미널은 선석길이당(1m) 연간 처리량은 2,734TEU, 야드면적당(㎡) 처리량은 9.3TEU, 인력당 처리량은 4,330TEU로 부산항 컨 부두 중 최고점을 받았다. 특히 지난해 20피트 컨 2개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트윈 스프레더’ 한 대를 확충하고, Y/T 운전원 교대방법을 변경하는 등 생산성 제고노력 부문에서도 높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결과와
대한해운(사장 이진방, www.korealines.co.kr)은 최근 신입 사원들의 극기 훈련을 위한 산행을 실시했다. 김창식 전무를 비롯한 임원들과 신입사원 약 26명이 함께한 이번 산행은 신입사원 교육의 일환으로, 약 5시간의 북한산 산행을 통해 체력을 단련하고 신입 직원들의 입사를 환영하는 뜻 깊은 자리가 됐다. 이에 앞서 이진방 사장은 신년사를 통해 "미래 회사발전의 토대가 되는 인재양성을 주요한 과제"로 언급하며 신입사원을 비롯한 직원들의 직무능력 향상에 특별한 기대와 관심을 표명한 바 있다. 편집국
일본 시모노세키 항만국의 용역 조사단이 10일 인천항만공사(IPA·사장 서정호)를 방문했다. 이번 조사단 방문은 시모노세키항의 재정비와 운영 등 전반적 발전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용역의 일부로 한국의 주요 항만들을 방문해 발전 계획과 운영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차원에서 이뤄졌다. 시모노세키 항만국 직원들과 지역개발연구소 연구원 등 5명으로 구성된 조사단은 첫 일정으로 인천항만공사를 방문해 항만 운영 실태와 송도신항 개발 계획 등에 대한 자문을 구했다. 특히 이번 조사단은 인천항만공사의 설립 배경 및 목적, 역할 등에 대해 세세한 자문을 구한 뒤 인천항-일본 주요 항만의 컨테이너 항로 추가 개설 가능성 및 카페리 항로 개설 가능성 등에 대해 집중적으로 논의했다. 편집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