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만공사는 최근 항만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의 체계적 관리 및 모니터링을 위해 ‘항만온실가스 관리시스템’을 국내 항만 최초로 개발하고, 국내 특허등록까지 마쳤다. ‘항만온실가스 관리시스템’은 ICT기반으로 웹상에서 항만온실가스 관리 및 모니터링이 가능한 시스템으로, 온실가스 배출원 현황 등록관리, 탄소 배출량의 정량적 산출 및 분석이 가능하도록 구축되었다. 금번에 개발한 ‘항만온실가스 관리시스템’은 IPA의 동반성장 프로그램 중 하나인 ‘민관공통투자기술개발사업’과 연계하여 국내 환경부문 선도기업인 주식회사 에코시안과 공동으로 진행했다. IPA는 시스템 개발을 위해 상생협력펀드로 조성했으며, 개발기간은 지난 2014년 12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24개월이 소요되었고, 최근 중소기업벤처부의 과제평가 결과 성공판정을 받아 개발과제가 최종 마무리 되었다. 시스템 개발에 적용된 세부기술은 IPCC(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를 비롯한 국제기구 등에서 제시한 가이드에 따라 온실가스 발생원별 배출량 산정계수를 적용했으며, DNV GL(노르웨이-독일연합 선급협회)에서 실시한 제3자 검증을 통과하는 등 기술의 적합성도 인정받았다. 또한, 이번에 개발한 ‘항만온실가
CJ대한통운은 고객이 친절·모범 택배기사를 추천하는 '우리동네 택배기사 소문 내고! '골든슬럼버' 보러 가자!'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30일 밝혔다. 이벤트 참여기간은 이날부터 오는 2월 11일까지이며 CJ대한통운 공식 홈페이지를 방문한 뒤 문의하기 페이지에서 추천하고 싶은 택배기사의 사연을 자유롭게 작성해 응모하면 된다. CJ대한통운은 사연을 응모한 고객 중 총 150명을 선정해 영화 '골든슬럼버' 관람권(1인 2매)을 증정한다. 선정 결과는 2월 13일 17시에 홈페이지 공지로 발표할 예정이다. 또한 고객들로부터 추천 받은 사연의 주인공인 택배기사 150명을 선정해 오는 2월 14일 개봉하는 '골든슬럼버' 시사회에 초대할 예정이다. 영화 '골든슬럼버'에서 극중 택배기사 김건우(강동원 분)가 강도로부터 위협을 당하는 여자 아이돌을 발견하고 들고 있던 생수통 묶음을 던져 위험에서 구하며 모범 시민상을 받는다는 내용이 나온다. 이에 영화 속 주인공의 선행이 실제 우리 주변에도 많이 일어난다는 사실에 착안해 이번 이벤트를 마련했다.
“해운업은 무형의 서비스를 파는 비지니스다. 창의적 발상으로 신기술(IT)을 비지니스에 누가 더 잘 접목시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느냐에 따라 성패가 갈릴 수 있다” 현대상선이 첫 출근한 2018년 신입사원 24명을 대상으로 ‘CEO 간담회’를 29일 개최했다. 유창근 대표이사는 이날 간담회에서 “여러분은 현대상선을 글로벌 톱 해운사로 성장시킬 주역인 동시에 우리나라 해운산업을 중흥시킬 역군들”이라며, “해운산업이 성장하기까지의 땀과 열정을 쏟아온 현대상선의 옛 선배들이 제2의 장보고였다면, 제3의 장보고는 바로 여러분”이라고 강조했다. 신입사원들은 29일 연지동 현대상선 사옥으로 첫 출근해 오리엔테이션 등 3주간의 입문교육 과정을 마친 뒤, 오는 2월 21일부터 현업부서에 배치된다. 입문교육에는 ‘CEO 간담회’를 비롯해 각 사업별/팀 소개, 해운 입문 실무교육, 임원간담회, 선배와의 대화, 직장예절 특강, 외부인사 초청 특강, 동호회 및 복리후생 안내 등의 교육이 진행된다. 또한 부산신항을 직접 방문해 항만터미널 견학과 현대상선 컨테이너선 승선체험, 트레이닝 센터 운항 시뮬레이션 모의 조정 체험 등 현장 교육도 진행한다.
EU 기관 세 곳은 독일 쾰른에 있는 유럽항공안전기구(European Aviation Safety Agency)와 관련하여 2015년 말 EU 위원회가 제안한 법 개정에 지난 2017년 11월 합의했다. 유럽 의회, 회원국 및 EU 위원회 사이의 협의는 이미 2016년 말에 시작되었다. 협의 과정은 매우 복잡했다. 유럽항공안전기구에 관한 기초적인 법이 드론 이용 규제에 관한 자격을 확정하기 때문이다. 드론은 언제 등록해야 하나 오랜 시간 논쟁이 된 부분은 “드론을 이용하는 업체 또는 개인이 언제 등록해야 하는가“이다. 회원국들은 이 부분을 EU 위원회가 이 법의 시행령에서 규정해야 할 세부사항으로 여겼다. 유럽 의회 교섭자는 여기에 관여하고 싶어 하지 않았으며 “기본법령“에서 정확하게 개념을 규정하라고 이미 요구했다. 유럽 의회 교섭자에 따르면 드론 원격 항공기 시스템이 안전, 프라이버시 또는 환경에 위험 요소가 될 때 드론 이용자가 등록하거나 이용 허가를 받아야 한다. 또, 사고가 날 경우 위험할 수 있는 기준치인 44J 이상인 모든 드론은 등록해야 한다. 44J 드론에 충돌할 경우 사람이 죽을 위험은 1%이다. 거대 드론은 비행기처럼 당연히 유럽항공안전기
EU 기관 세 곳은 독일 쾰른에 있는 유럽항공안전기구(European Aviation Safety Agency)와 관련하여 2015년 말 EU 위원회가 제안한 법 개정에 지난 2017년 11월 합의했다. 유럽 의회, 회원국 및 EU 위원회 사이의 협의는 이미 2016년 말에 시작되었다. 협의 과정은 매우 복잡했다. 유럽항공안전기구에 관한 기초적인 법이 드론 이용 규제에 관한 자격을 확정하기 때문이다. 드론은 언제 등록해야 하나 오랜 시간 논쟁이 된 부분은 “드론을 이용하는 업체 또는 개인이 언제 등록해야 하는가“이다. 회원국들은 이 부분을 EU 위원회가 이 법의 시행령에서 규정해야 할 세부사항으로 여겼다. 유럽 의회 교섭자는 여기에 관여하고 싶어 하지 않았으며 “기본법령“에서 정확하게 개념을 규정하라고 이미 요구했다. 유럽 의회 교섭자에 따르면 드론 원격 항공기 시스템이 안전, 프라이버시 또는 환경에 위험 요소가 될 때 드론 이용자가 등록하거나 이용 허가를 받아야 한다. 또, 사고가 날 경우 위험할 수 있는 기준치인 44J 이상인 모든 드론은 등록해야 한다. 44J 드론에 충돌할 경우 사람이 죽을 위험은 1%이다. 거대 드론은 비행기처럼 당연히 유럽항공안전기
CJ대한통운이 강원도와 함께 '강원도 사회적경제지업 제품 판로지원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CJ대한통운은 다가오는 평창 동계올림픽을 응원하기 위해 지자체와의 협업을 통해 강원도의 사회적경제기업 제품 판로 확대를 지원하기로 했다. 이번 협약을 기점으로 CJ대한통운은 택배 네트워크와 배송인력을 활용해 강원도 지역과의 상생을 위한 홍보활동을 펼치게 된다. 택배기사가 일반 택배상품을 배송할 때 고객에게 사회적경제기업 제품의 카탈로그를 함게 전달해 우수한 상품을 소비자에게 알릴 예정이다. 강원도에서 발행한 이 카탈로그에는 강원도 사회적경제 공동 브랜드 '강원곳간'의 다양한 먹거리 정보가 담겨 있다. 동계올림픽이 열리는 평창의 황태포, 정선의 곤드레나물 간편식 등 도내 사회적경제기업의 우수한 지역 특산품이 소개돼 있으며 지역 특산품 재배 과정과 먹거리 관련 이야기 등의 정보도 담겨 있다. CJ대한통운은 강원도 우수 상품 홍보를 위해 수요가 높은 서울 및 경기도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카탈로그 배송을 희망하는 택배기사 600여명을 모집했다. CJ대한통운 관계자는 "이번 협약을 통해 강원도 사회적경제기업의 매출증가를 돕고 우수한 제품들이 널리 알려지길 기대한
2017년 가장 이슈가 되었던일들 중 하나는 해양 연료로서의 LNG 시장의 진화였으며 업계 전반에 걸쳐 가스 연료 운송의 포용이 증가하고 있음을 입증하는 전 세계의 새로운 프로젝트가 크게 증가했다. 올해 우리는 성장과 다각화를 이루는 함대가 갖춰야 하는 인프라에대한 긴급한 요구를 충족시키고 적절한 인프라의 잠재적 부족으로 LNG 운송의 분기점을 찍을 것으로 예상되는 이 해에 시장 확대를 막지 않을 수 있도록 보장 하는 것이 주요 도전 과제라고 예측한다. 2017년 11월 기준 111척의 LNG선이 주문되어 현재 120척에 이르는선박의 수를 거의 배가 할 전망이다. 올해는 62척의 LNG선 인도가 예정되어 있는데, 달성된다면 새로운 연간 생산 기록이 될 것이다. 그러나 작년에 발표된 모든 내용 중 가장 중요한 내용 중 하나는 단연코 CMA CGM이 LNG를 사용하는 초대형 컨테이너선 (ULCSs) 9척을 주문한다는 결정 이였다. 이는 LNG가 주류 해양연료 로서의 잠재력을 확신 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지표 중 하나이다. 성장하는 안전한 LNG 벙커링 시장을 지원하기 위해 로테르담의 Shell 기지에서 운영되는 LNG 벙커급유 탱커인 Cardissa 6,500
2017년 가장 이슈가 되었던일들 중 하나는 해양 연료로서의 LNG 시장의 진화였으며 업계 전반에 걸쳐 가스 연료 운송의 포용이 증가하고 있음을 입증하는 전 세계의 새로운 프로젝트가 크게 증가했다. 올해 우리는 성장과 다각화를 이루는 함대가 갖춰야 하는 인프라에대한 긴급한 요구를 충족시키고 적절한 인프라의 잠재적 부족으로 LNG 운송의 분기점을 찍을 것으로 예상되는 이 해에 시장 확대를 막지 않을 수 있도록 보장 하는 것이 주요 도전 과제라고 예측한다. 지난 2017년 11월 기준 111척의 LNG선이 주문되어 현재 120척에 이르는선박의 수를 거의 배가 할 전망이다. 올해는 62척의 LNG선 인도가 예정되어 있는데, 달성된다면 새로운 연간 생산 기록이 될 것이다. 그러나 작년에 발표된 모든 내용 중 가장 중요한 내용 중 하나는 단연코 CMA CGM이 LNG를 사용하는 초대형 컨테이너선 (ULCSs) 9척을 주문한다는 결정 이였다. 이는 LNG가 주류 해양연료 로서의 잠재력을 확신 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지표 중 하나이다. 성장하는 안전한 LNG 벙커링 시장을 지원하기 위해 로테르담의 Shell 기지에서 운영되는 LNG 벙커급유 탱커인 Cardissa 6,
One of the biggest stories of 2017 was the evolution of the market for LNG as a marine fuel, with a significant increase in new projects across the globe, demonstrating a growing embrace of gas-fuelled shipping throughout the industry. This year, we predict that a major challenge will be meeting the urgent demand for infrastructure brought on by a growing and diversifying fleet, and ensuring that a potential lack of suitable infrastructure does not begin to hold back an expanding market, in a year that is looking to be a tipping point for LNG shipping. As of November 2017, there were 111 LNG-f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는 지난 1월 8일 코엑스에서 한국 해양수산분야의 현재를 진단하고 미래 발전 방향을 논의하기 위한 자리로 ‘2018 해양수산 전망대회’를 개최했다. 오전 제1부에서는 ‘2018 해양수산 전망과 과제’를 주제로 기조강연이 펼쳐졌으며 오후 제2부에서는 ‘해양’, ‘수산’, ‘해운조선·해사’, ‘항만·물류’ 등 4개 분야 세션별 주제발표와 종합토론이 이어졌다. 오후 제 2부에서 발표된 세션 중 해양 부문은 총 6개의 주제로 이루어졌다. 제 1주제는 2018 국제 정세 변화와 해양 정책 동향으로 최근 국제 정세가 미국과 중국으로 대표되는 G2에서 뚜렷한 주도 세력이 나타나지 않는 G0으로 변화하고 있고 북한의 핵 이슈와 중동의 인티파다 등 혼란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에서 실리적인 외교를 추구하여 위기를 극복해야 하며 국가 미래전략 및 외교정책에 해양적 사고(思考)가 토대가 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해양 세션의 제 2주제는 2018 해양영토 이슈와 과제였다. 세계 각국의 자국우선주의와 영토주권 강화로 인해 국제적 긴장감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은 한·중·일의 관할권 및 영유권의 갈등, 중국의 불법조업 등 영토와 관련된 이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는 최근 코엑스에서 한국 해양수산분야의 현재를 진단하고 미래 발전 방향을 논의하기 위한 자리로 ‘2018 해양수산 전망대회’를 개최했다. 오전 제1부에서는 ‘2018 해양수산 전망과 과제’를 주제로 기조강연이 펼쳐졌으며 오후 제2부에서는 ‘해양’, ‘수산’, ‘해운조선·해사’, ‘항만·물류’ 등 4개 분야 세션별 주제발표와 종합토론이 이어졌다. 오후 제 2부에서 발표된 세션 중 해양 부문은 총 6개의 주제로 이루어졌다. 제 1주제는 2018 국제 정세 변화와 해양 정책 동향으로 최근 국제 정세가 미국과 중국으로 대표되는 G2에서 뚜렷한 주도 세력이 나타나지 않는 G0으로 변화하고 있고 북한의 핵 이슈와 중동의 인티파다 등 혼란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에서 실리적인 외교를 추구하여 위기를 극복해야 하며 국가 미래전략 및 외교정책에 해양적 사고(思考)가 토대가 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해양 세션의 제 2주제는 2018 해양영토 이슈와 과제였다. 세계 각국의 자국우선주의와 영토주권 강화로 인해 국제적 긴장감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은 한·중·일의 관할권 및 영유권의 갈등, 중국의 불법조업 등 영토와 관련된 이슈를 치밀하
현대상선이 냉동 컨테이너 분야에서 축적된 기술력을 활용, 지난 25일 부산발 스페인 바르셀로나 운송을 시작으로 울트라 프리저(Ultra Freezer) 서비스를 개시했다. 현재 울트라 프리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선사는 머스크와 CMA CGM 뿐이며 국적선사로는 현대상선이 유일하다. 울트라 프리저 서비스는 일반 냉동 컨테이너의 한계인 영하 35~40도를 넘어 영하 60도의 초저온으로 화물을 운반하는 서비스다. 이동, 선적 및 양하 과정에서 초저온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높은 수준의 기술력과 숙련된 전문인력을 필요로 한다. 이 때문에 운임이 일반 냉동 컨테이너 대비 4배에서 최고 8배까지 높은 수준이다. 울트라 프리저 서비스를 이용하면 기존에 주로 항공을 통해서 운송했던 고급냉동참치(횟감용), 성게 등 고수익 화물을 해상으로 운송할 수 있다. 현대상선은 부산-바르셀로나(스페인), 부산-시미즈(일본), 알헤시라스(스페인)-요코하마(일본) 구간에서 해당 서비스를 제공한다. 현대상선은 향후 울트라 프리저 서비스 등 고부가가치 사업을 확대해 수익성을 높여나갈 방침이다. 현대상선 관계자는 “세계 최고 수준의 현대상선 냉동 컨테이너 관리 기술이 이번 울트라 프리저 서비스를 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