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년 안에 발효되는 선박 연료에 대한 새로운 환경 규정은 해운업체들과 원유 생산국들에게 막대한 비용 영향을 끼치며 국제 유가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국제 해양 기구가 2020년부터 실시할 예정인 선박 연료유의 유황성분 제한 수치를 낮추는 규정은 소비량이 낮은 저유황 경유 소비량을 촉진 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는 해상 운송 업계의 연료비를 상승시킬 것이며, 이미 이에 대한 변화를 준비하라는 경고를 받고 있다. 머스크 원유 무역 글로벌 거래 본부장인 Savvas Manousos는 새로운 규정이 국제 원유 매매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고 말했다. 9월 말 싱가포르에서 열린 파이낸셜 타임즈 상품 정상 회담에서 그는 보다 많은 미국 셰일 오일(혈암유)과 다른 경유가 유럽 정유회사들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에 따라 아시아 시장 내 미국 원유 수입 부족으로 아시아 기업들의 원가 부담이 커질 수 있다. 국제해양기구인 IMO는 2016년 10월에 2020년 1월부터 선박 연료의 현재 황함량 상한선을 3.5%에서 0.5%로 낮추기로 결정했다. 이 변화는 산화 유황 배출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에 대해 저유황 연료를 대량으로 생산하고자 하는
몇 년 안에 발효되는 선박 연료에 대한 새로운 환경 규정은 해운업체들과 원유 생산국들에게 막대한 비용 영향을 끼치며 국제 유가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국제 해양 기구가 2020년부터 실시할 예정인 선박 연료유의 유황성분 제한 수치를 낮추는 규정은 소비량이 낮은 저유황 경유 소비량을 촉진 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는 해상 운송 업계의 연료비를 상승시킬 것이며, 이미 이에 대한 변화를 준비하라는 경고를 받고 있다. 머스크 원유 무역 글로벌 거래 본부장인 Savvas Manousos는 새로운 규정이 국제 원유 매매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고 말했다. 9월 말 싱가포르에서 열린 파이낸셜 타임즈 상품 정상 회담에서 그는 보다 많은 미국 셰일 오일(혈암유)과 다른 경유가 유럽 정유회사들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에 따라 아시아 시장 내 미국 원유 수입 부족으로 아시아 기업들의 원가 부담이 커질 수 있다. 국제해양기구인 IMO는 2016년 10월에 2020년 1월부터 선박 연료의 현재 황함량 상한선을 3.5%에서 0.5%로 낮추기로 결정했다. 이 변화는 산화 유황 배출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에 대해 저유황 연료를 대량으로 생산하고자 하는
New environmental rules on shipping fuel due to come into force in a few years will affect the global crude oil market, with big cost implications for maritime shippers and fuel producers. The decision by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to lower the limit on sulfur content for fuel oil used in ships, which is expected to take effect in 2020, could boost consumption low-sulfur “light” crude oil. This will push up fuel costs for the maritime shipping industry, which is being warned to prepare for the change. Savvas Manousos, global head of trading at Maersk Oil Trading, said the new regu
해양부는 대형선박이 안전하게 입·출항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기 위해 지난 2014년 말 착공한 ‘부산항 신항 증심 2단계 준설공사’가 오는 10월 말 완공된다고 밝혔다. 부산항 신항은 2006년 1월 개항 당시 4천~7천 TEU 급 선박을 대상으로 설계되어 수심 15m로 조성되었으나, 최근 세계적인 컨테이너 선박 대형화 추세에 발맞추어 17m까지 수심을 추가 확보하는 증심 공사를 추진했다. 본 공사는 2014년 12월부터 2017년 10월까지 총 2년 9개월간 600억 원의 예산이 투입되었으며, 공사가 완료되면 최대 1만 8천TEU급 대형 컨테이너 선박도 안전하게 입출항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부산항 신항에 대형선박의 상시 입·출항이 가능해짐으로써 국제물류 처리 및 환적화물 유치 활성화 등의 효과를 거두고 항만경쟁력을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김명진 해양수산부 항만개발과장은 “수심 확보와 더불어 부산항 신항 입구부 항로 확장도 올해 말까지 마무리될 예정이며, 이로서 대형 컨테이너 선박들이 안정적으로 입출항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기대된다.” 라며, “세계 주요항만과의 경쟁에서 앞서가기 위해 초대형 선석을 추가로 개발하는 등
인천항만공사는 공사 임직원들 대상으로 지난 26일 부터 27일까지 양 일간 인천 연수구 소재 인천광역시립박물관에서 “2017 기획특별전 해양의 도시, 인천 展”을 관람했다. 항만공사에 따르면, 시립박물관측의 전시물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듣고 격동의 근대화 현장이었던 인천항의 근대 역사에 관한 소양을 높이는 계기와 함께 인천항만을 폭 넓게 이해하는 기초가 되었다. 인천항만공사 남봉현 사장은 “인천항 역사전시물을 통해 인천항 역사를 익히는 계기가 되었다”며 인천항과 관련된 오래된 유물 등을 잘 관리한 인천광역시립박물관에 감사를 표시했다. 한편, “<2017 기획특별전> 해양의 도시, 인천 展”은오는 29일까지 전시되며, 추후 인천광역시청 등 공공장소에 순회 전시, 시민들에게 인천항의 역사를 알린다.
관습(慣習)은 어떤 사회에서 오랫동안 지켜져 내려와 그 사회 구성원들이 널리 인정하는 질서나 풍습을 말한다. 대체로 풍습과 같이 좋은 의미에서 관습이 쓰인다. 또한 나쁜 관행도 관습의 범주에 넣기는 하지만 양습(良習)처럼 묵인이 되기보다는 질타와 비판의 대상이 되면서 반드시 고쳐야할 폐습으로 여겨지게 된다. 하지만 어떤 악습은 여러 가지 이유로 좀처럼 고쳐지지 않은 채 사회의 고질병으로 자리 잡은 뒤 지속적인 반복현상으로 사회 구성원들조차 감각이 무뎌져 마치 어쩔 수 없는 사회 관습으로 착각하기도 한다. 우리는 오랫동안 쌓여온 이런 폐단을 적폐(積弊)라고 한다. 폐단이 관습화 되는 과정을 거치면 적폐가 된다. 나쁜 습관은 일개인도 부단한 노력 등을 통해 고치는 과정을 거치는데 사회 속에 뿌리 내린 폐단이 유독 좀처럼 사라지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릇된 사안을 그릇된 것으로 여기지 못하는 인식의 왜곡에다 특정 폐단과 얽혀 있는 이해관계 집단의 집요한 은폐 등으로 폐단의 누적화가 이뤄지기 때문이 아닐까 한다. 선진국보다는 사회가 이런 악습을 배척할 능력을 갖추지 못한 후진국에서 많이 나타나는 현상이기도 하다. 특히 정치권과 같은 권력집단 속에서 성행하는 습성
CJ대한통운이 민-군 물류 교류 활성화에 적극 나서고 있다. CJ대한통운은 26일 경기도 군포시 부곡동에 위치한 군포복합물류터미널에서 1사 1병영 제휴 부대인 육군 종합보급창과 공동으로 ‘민군 협력 기반 군물류 효율화 추진 세미나’를 개최했다. CJ대한통운 임직원을 비롯해 육군본부 군수참모부, 군수사령부, 종합보급창, 종합군수학교 병참교육단 등 육군 군수 관련 보직 장교 및 군무원이 참석했다. 이번 세미나는 한국 물류산업의 효시이자 최대 종합물류기업인 CJ대한통운과 우리 군이 협력해 효율적인 군수물류 운영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행사는 ▲물류운영 효율화 방안 논의 ▲물류인프라 및 시스템 교육 ▲물류운영 성공사례 공유 ▲향후 협력 방안 모색 등으로 구성됐다. 세미나에 앞서 김영우 국회 국방위원장은 축전을 보내 1사 1병영 캠페인을 통한 민군 유대 강화 및 교류 활성화에 대한 뜨거운 관심과 전폭적인 지지 의사를 전했다. CJ대한통운과 군은 TES이노베이션센터 및 물류센터를 돌아보며 현장 운영 노하우를 직접 볼 수 있는 인프라투어도 함께 진행했다. TES이노베이션센터는 첨단 물류장비 및 신기술 연구, 현장 적용 테스트, 솔루션 개발 등이 이뤄지는 공간
하역생산성은 선사가 기항지를 선택할 때 고려하는 주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항만의 하역생산성이 높다는 것은 같은 시간내 선석에서 더 많은 물동량을 처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생산성이 높을수록 선박이 항만에 머무는 시간은 단축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선박 운영에 소요되는 각종 비용을 절감할 수 있기 때문에 선사는 기항지를 선택함에 있어서 선석생산성을 중요한 선택 요인으로 삼는다. 이러한 하역생산성을 통해 각 컨테이너 항만의 경쟁력을 가늠해볼 수 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는 IHS Markit의 원자료를 바탕으로 ‘16년 기준, 전 세계 167개국의 672개 컨테이너 항만을 대상으로 선석생산성을 측정했다. 국가 별 선석생산성에서 한국은 시간 당 83.9회로 5위를 기록했으며 1위는 아랍에미리트(110.0회/hr)가 차지했다. 중국은 시간 당 87.0회를 기록하며 3위를 차지했고 싱가포르는 74.8회로 7위에 그쳤다. 각 항만을 기준으로 할 경우 부산의 선석생산성은 시간 당 85.9회로 전체 672개 항만 중 14위로 나타났다. 아랍에미리트는 Jebel Ali항(118.7회/hr)과 Khor Fakkan항(100.2회/hr)이 각각 1위와 4위를 차지하며
해양부는 지난 26일 인천항에서 쇄빙연구선 ‘아라온호’의 제 9차 남극항해 출항식이 열렸다. 출항식에는 김영춘 해양부 장관을 비롯하여 윤호일 극지연구소장, 아라온호 승조원 및 연구원 등 40여 명이 참석했다. 쇄빙연구선 아라온호는 2009년 11월 준공된 이후 현재까지 각각 8차례에 걸쳐 남·북극 항해 임무를 수행했으며, 최근에는 7월부터 9월까지 북극 탐사를 마치고 귀환했다. 이후 수리 등 출항 준비를 마치고지난 26일 다시 인천항을 출발하여 227일간의 남극항해를 떠났다. 아라온호는 인천항을 출발하여 호주를 거쳐 남극장보고과학기지로 향하며, 월동연구대 및 하계연구에 필요한 물품을 보급한 뒤 12월 중순부터 본격적인 연구를 위한 항해를 시작한다. 첫 연구 탐사지인 아문젠해에서는 아문젠해 빙붕의 소멸속도와 해양의 순환변동 추세를 연구하고, 지역별로 기온 변화가 다르게 나타나는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를 추진할 예정이다. 이어지는 로스해 항해에서는 퇴적물을 채취하여 과거의 해양과 빙권 환경 변화를 확인하는 연구와 함께, 다섯 대의 해저면 지진계를 설치하여 지진 관측망을 구축할 예정이다. 2016년 세계 최대 규모의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된 로스해는 우리나라가
폴라리스쉬핑은 금일 현대중공업과 또다시 5척의 VLOC (초대형 광석운반선)를 발주했다. 이로써, 올해 동사의 신조 발주 규모는 지난 6월의 3척, 9월의 10척을 합하여 총 18척 규모에 달한다. 이는, DWT(재화중량) 기준으로는 585만톤, 금액 기준으로는 약 1조 6천억원에 달하는 초대형 발주로, 그 동안 어려움을 면치 못했던 국내 조선산업에 매우 큰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예상된다. 각종 고용효과는 물론, 민관 합동으로 추진 중인 해운, 조선, 금융 상생 구도에도 적지 않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폴라리스쉬핑의 금번 발주는 브라질 Vale사의 신규 계약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동사는 지난 8월 31일에 이미 10척의 장기운송계약을 확정한 바 있으며, 금번 발주는 지난 9월말에 추가로 5척의 장기운송계약을 확정한 것이 그 배경으로 알려졌다. 폴라리스쉬핑은 지난 2007년 Vale 사와 첫 장기운송계약을 확정한 이래, 줄곧 장기운송계약, 특히 철광석의 장기운송계약에 특화하여 안정적인 경영흐름을 이어가고 있으며, 금번 장기운송계약의 대량 확보을 통해 다시 한번 동 사의 경쟁력을 시장에 확인시키고 있다. 금번 신조선에는 그간 회사의 VLOC 선단 운
SM상선이 국내외 선사들과 함께 첫 공동 운항을 개시한다. SM상선은 국내외 4개 선사와 공동운항으로 중국과 중동 및 파키스탄을 잇는 신규 노선을 개설한다. SM상선 노선의 이름은 ‘CMX(China Middle East Express)’이며 총 6척의 5,000~ 6,500TEU급 선박이 투입된다. 오는 11월 17일 중국 신강에서 출항하는 항차를 시작으로 서비스될 예정이다. 공동운항선사는 SM상선, 고려해운, 홍콩의 골드스타라인(Gold Star Line), 티에스라인(TS Line), 태국의 알씨엘(RCL) 등 총 5개 선사이다. 기항지는 중국 신강 - 청도 - 상하이 - 닝보 - 셔코우 - 포트켈랑 - 콜롬보 - 카라치 - 제벨알리 - 콜롬보 - 포트켈랑 - 싱가폴 - 신강 순이다. 특히, 이번 SM상선의 노선 개설은 중동 시장 진출뿐만 아니라, 출범 후 국내외 해운사들과 진행하는 첫 공동운항이라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 SM상선은 이미 단독운항으로 미주 노선 및 아주 노선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따라서 금번 공동 운항 개시는 해운업계로부터 그 영업력과 네트워크를 인정받았다는 것으로도 풀이된다. 출범 초기부터 SM상선은 국내외 모든 해운선사와 언제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가 100여일 다가온 지금, 대회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한 인천항의 지원과 노력이 화제가 되고 있다. 한중관계 경색과 함께 북핵 이슈로 얼어붙은 지역 관광산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인천항만공사는 25일 오전 서울 송파구 소재 평창동계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서울사무소 대회의실에서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 및 동계패럴림픽대회 성공개최’를 위해 조직위원회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국내항만 중 최초로 체결된 금번 업무협약은 인천항 여객터미널을 이용하는 해상여행객을 타깃으로 한 동계올림픽대회 사전 홍보를 비롯하여 사회공헌 활동과 연계한 대회입장권 및 라이선싱 상품 구매 등 2018평창동계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한 지원활동을 전개한다는 내용이다. 이와 함께 동계올림픽대회와 패럴림픽대회 기간중 인천항과 중국을 오가는 한중카페리 노선을 활용한 중국응원단 유치 마케팅도 집중할 계획이다. 인천항만공사 남봉현 사장은 “대한민국 수도권 관문인 인천항을 활용한 협업 마케팅은 중국 관광객들에게 평창동계올림픽을 홍보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적극 지원을 하겠다”고 강조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