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양수산개발원(원장 김성귀)은 오는 21일미얀마 양곤에서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와 미얀마 해양대학교(MMU)가 공동주최하는 ‘제5회 2016 한-미얀마 해양수산 포럼’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은 2012년 미얀마 해양대학교와 체결한 양해각서에 따라 매해 미얀마 현지에서 개최되어 왔다. 2015년 행사는 부산 해운대에서 개최된 바 있다. 올해는 미얀마 양곤에서 “미얀마 해양수산 발전전략”을 주제로 진행된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김성귀 원장의 개회사와 미얀마 해양대학교 미얏 르윈(Myat Lwin) 총장의 환영사, 주 미얀마 대한민국 대사관 이백순 대사의 축사로 막을 연다. 특별세션에서는 한국과 미얀마의 협력사업의 현황과 앞으로의 방향을 제시한다. 한국해양대학교 이강기 교수가 “미얀마 해양플랜트 비즈니스 모델”을 주제로 미얀마의 곡물 바지(barge) 사업을 소개한다. 이어 부산항만공사 박호철 실장이 “부산항의 발전전략과 미얀마항만 협력사업”을 주제로 한국의 대표적인 항구인 부산항의 발전 전략과 미얀마 항만공사와의 협력 사업을 소개한다. 메인세션에서는 미얀마의 수산업, 항만산업, 해운물류 등 세 개 부문에서의 발전전략에 대한 양국 전문가의 주제 발
정부가 16개 분야 240조원을 운용하는 대형 국책사업 등에서 예산 누수나 비리를 사전에 차단하겠다며 ‘부패 방지 4대 백신 프로젝트’라는 것을 느닷없이 내놓았다. 그것도 황교안 국무총리가 직접 이 같은 계획을 발표할 정도로 정부의 부패 근절 의지가 예사롭지 않다. 국민의 혈세로 추진되는 국책사업이 비리로 얼룩져서는 안 되는 만큼 이런 정부의 의지가 큰 박수를 받는 것은 당연하다. 그렇지만 한편으로는 국책사업을 둘러싼 비리와 예산 누수가 얼마나 잦기에 이런 극단적 조치까지 나온 것일까 의심의 눈초리를 보내지 않을 수 없다. 정부의 ‘부패 방지 백신 프로젝트’는 ‘실시간 부패 감시’가 핵심 내용이다. 지금까지 사례로 볼 때 대형 국책사업이나 대규모 방위산업의 경우 규모에 비해 검증시스템이 미미해 사업이 끝 날 때까지 비리가 잘 드러나지 않는데다 비리가 발생하면 엄청난 국가적 피해를 끼치는 것이 사실이다. 정부도 이런 점을 감안해 ‘비리 예방 백신’을 국책사업에 미리 주사하겠다는 것이다. ‘실시간 감시’를 핑계 삼아 정부 조직만 잔뜩 늘려 자칫 예산만 축내는 ‘옥상옥’이 되는 것은 아닌지 걱정이 앞선다. 백신 프로젝트 내용을 보면 1조원 이상의 국책사업 중 비리
해운업의 위기는 곧 조선업의 위기로 연결된다. 가장 큰 타격을 얻은 조선소도 예외가 아니다. 그러한 가운데 채권단 공동관리(자율협약) 중인 SPP조선의 사천조선소가 팔린다. 지난 14일 SPP조선 매각주관사인 삼일회계법인-삼성증권 컨소시엄이 본 입찰을 실시한 결과, 사천조선소 인수를 희망하는 업체가 참여했다. 채권단 관계자는 “조선소 인수에 대한 의지가 굉장히 강하다”면서 “20일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하고 바로 매각 절차에 들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SPP조선은 경남 사천과 통영, 고성에 3개의 조선소와 함안공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현재 운영 중인 조선소는 사천조선소가 유일하다. 입찰에 참여한 업체는 사천조선소 인수만을 원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조선기자재업체인 비엔그룹과 삼라건설을 모태로 주로 법정관리 기업들을 인수해 성장한 삼라마이다스(SM)그룹 등 일부 기업들이 SPP조선에 대한 인수의향을 보여왔다. SPP조선은 파생상품 손실 8000억원을 포함해 1조2000억원의 영업 외 손실이 발생해 지난 2010년 5월부터 채권단의 관리를 받아왔다. 채권단이 현재까지 SPP조선에 지원한 금액은 1조850억원이다. 국민은행과 신한은행, 농협은행, 외환은행(현
부산항만공사(BPA, 사장 우예종)는 19일 오전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에서 해운․항만물류 분야 종사자들을 대상으로“제2차 벌크화물․중량화물 관련 실무교육 워크숍”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 워크숍에서 현장실무 전문가 2인으로 구성된 강사진이 “Break Bulk, Project Heavy Lift Cargoes 실무”를 주제로 열띤 강의를 펼쳤는데, 부산은 물론 서울지역 실무자들까지 대거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BPA는 특수화물 관련 현장실무 교육이 희소하고 가격이 비싼 점을 감안하여, 중소기업들의 부담 경감과 인적 경쟁력 및 자생력을 도모하기 위해 특수화물 관련 실무교육을 무상으로 제공하고 있다. BPA 김근영 경영지원부장은 “2차 워크숍에서도 참가자들의 반응이 매우 좋아 특수 화물관련 교육을 지속 시행하여 중소기업들과의 동반 성장과 공공기관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완수하겠다”고 말했다.
In stern contrast to the dry bulk market, where scrapping of older vessels is close to all-time highs and could be even higher, if it weren’t for low offer prices by demolition yards, the tanker industry was in a totally different state of mind during 2015. In fact, as shipbroker Gibson said in its latest report, demolition activity in the tanker market reached its lowest level in 25 years! According to Gibson, “in deadweight terms tonnage sold for scrapping amounted to 1.7 million tonnes, just 29 units. Robust earnings across most tanker sectors over the year discouraged scrapping, Also, the
(서울 = CSR투데이) SK그룹 경영진들이 글로벌 현장경영과 새로운 먹거리 확보를 위해 연초부터 유럽, 북미, 중국 등 3개 대륙에서 신성장 동력을 찾아 나서고 있다. 19일 SK그룹에 따르면 그룹 최고경영진들은 지난해 말 CEO세미나와 올 초 신년회에서 일상적 수준의 변화와 혁신으로는 현재의 위기를 극복할 수 없다고 보고 패기를 앞세운 파괴적 혁신을 강조했다. 이에따라 최태원 회장과 최창원 SK케미칼 부회장, 임형규 ICT위원장, 유정준 글로벌성장위원장(SK E&S 사장 겸임), 김형건 SK종합화학 사장 등 그룹 최고 경영진들은 오는 20일부터 23일까지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리는 세계경제포럼에 참석할 예정이다. 올해 다보스포럼의 주제가 ‘제4차 산업혁명의 이해’일만큼 전문가들은 현재의 산업구조, 생산기술, 경영전략을 완전히 뒤바꿔 놓는 변화들이 다가올 것이라고 예견하고 있다. 이에 맞춰 SK 경영진은 에너지·화학, ICT, 반도체 등 주력 사업분야의 글로벌 리더들과 만나 협력을 강화하는 것은 물론 해당 분야의 여러 세션에도 참석, 기술동향을 파악할 예정이다. 특히 SK 경영진은 지난해 말 파리에서 폐막된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서울 = CSR투데이) SK그룹 경영진들이 글로벌 현장경영과 새로운 먹거리 확보를 위해 연초부터 유럽, 북미, 중국 등 3개 대륙에서 신성장 동력을 찾아 나서고 있다.19일 SK그룹에 따르면 그룹 최고경영진들은 지난해 말 CEO세미나와 올 초 신년회에서 일상적 수준의 변화와 혁신으로는 현재의 위기를 극복할 수 없다고 보고 패기를 앞세운 파괴적 혁신을 강조했다.이에따라 최태원 회장과 최창원 SK케미칼 부회장, 임형규 ICT위원장, 유정준 글로벌성장위원장(SK ES 사장 겸임), 김형건 SK종합화학 사장 등 그룹 최고 경영진들은 오는 20일부터 23일까지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리는 세계경제포럼에 참석할 예정이다.올해 다보스포럼의 주제가 ‘제4차 산업혁명의 이해’일만큼 전문가들은 현재의 산업구조, 생산기술, 경영전략을 완전히 뒤바꿔 놓는 변화들이 다가올 것이라고 예견하고 있다.이에 맞춰 SK 경영진은 에너지·화학, ICT, 반도체 등 주력 사업분야의 글로벌 리더들과 만나 협력을 강화하는 것은 물론 해당 분야의 여러 세션에도 참석, 기술동향을 파악할 예정이다.특히 SK 경영진은 지난해 말 파리에서 폐막된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1)’ 이후 새롭게 전개될 新
(서울 = CSR투데이) 국내 및 국제구호 NGO ‘함께하는 사랑밭’은 지난 15일 베트남 빈민촌 떵럼에서 사랑의 쌀 나누기 행사를 진행했다고 19일 밝혔다. 떵럼 빈민 주민 160여 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이날 행사에서는 주민들에게 각각 쌀 10kg, 라면 1박스, 식용류, 설탕, 조미료를 전달했다. 사랑의 쌀 나누기 행사에는 ‘함께하는 사랑밭’의 정순옥 실장을 비롯해 강정완 베트남 지부장, 떵럼 인민위원회와 현지 협력자 및 관계자들이 함께해 자리를 빛냈다. ‘함께하는 사랑밭’ 베트남 지부는 앞으로 결연아동, 지역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구호활동을 펼칠 예정이다. ‘함께하는 사랑밭’(www.withgo.or.kr)은 1987년부터 제도상의 문제로 정부나 기관으로부터 외면당하는 고통 받는 이들을 찾아가 도움을 주는 사회복지 NGO로 서울사무국을 중심으로 대전, 광주, 대구, 부산, 창원, 천안 등 전국의 지부와 사회복지법인[네크워크], 아동복지시설[해피홈], 장애인생활시설[브솔시내], 노인요양시설[나솔채], 노인복지시설[실버홈]을 설립, 지원하고 있다.
(서울 = CSR투데이) 국내 및 국제구호 NGO ‘함께하는 사랑밭’은 지난 15일 베트남 빈민촌 떵럼에서 사랑의 쌀 나누기 행사를 진행했다고 19일 밝혔다.떵럼 빈민 주민 160여 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이날 행사에서는 주민들에게 각각 쌀 10kg, 라면 1박스, 식용류, 설탕, 조미료를 전달했다.사랑의 쌀 나누기 행사에는 ‘함께하는 사랑밭’의 정순옥 실장을 비롯해 강정완 베트남 지부장, 떵럼 인민위원회와 현지 협력자 및 관계자들이 함께해 자리를 빛냈다.‘함께하는 사랑밭’ 베트남 지부는 앞으로 결연아동, 지역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구호활동을 펼칠 예정이다.‘함께하는 사랑밭’(www.withgo.or.kr)은 1987년부터 제도상의 문제로 정부나 기관으로부터 외면당하는 고통 받는 이들을 찾아가 도움을 주는 사회복지 NGO로 서울사무국을 중심으로 대전, 광주, 대구, 부산, 창원, 천안 등 전국의 지부와 사회복지법인[네크워크], 아동복지시설[해피홈], 장애인생활시설[브솔시내], 노인요양시설[나솔채], 노인복지시설[실버홈]을 설립, 지원하고 있다.
(서울 = CSR투데이) 중국 유재석 팬클럽은 유재석 이름으로 사회복지 NGO단체 ‘함께하는 사랑밭’에 연탄 7천12장을 기부했다고 19일 밝혔다. 중국 유재석 팬클럽 대행을 맡은 상해 HANYING 네트워크유한공사 Lin YueWu 사장은 지난 15일 서울시 구로구 오류동에 위치한 ‘함께하는 사랑밭’ 본부를 방문, 연탄을 기부했다. 기부한 연탄 7천12장은 중국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SBS TV ‘일요일이 좋다-런닝맨’에 출연하는 스타 7명(유재석, 하하, 송지효, 개리, 김종국, 이광수, 지석진)이 영원히(012) 함께 하자는 팬심을 담은 것이다. 중국 유재석 팬클럽은 ‘함께하는 사랑밭’ 봉사자들 100여명과 함께 오는 30일 서울 노원구 상계동 일대 35가구에 이 연탄을 직접 전달할 계획이다.
(서울 = CSR투데이) 중국 유재석 팬클럽은 유재석 이름으로 사회복지 NGO단체 ‘함께하는 사랑밭’에 연탄 7천12장을 기부했다고 19일 밝혔다.중국 유재석 팬클럽 대행을 맡은 상해 HANYING 네트워크유한공사 Lin YueWu 사장은 지난 15일 서울시 구로구 오류동에 위치한 ‘함께하는 사랑밭’ 본부를 방문, 연탄을 기부했다.기부한 연탄 7천12장은 중국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SBS TV ‘일요일이 좋다-런닝맨’에 출연하는 스타 7명(유재석, 하하, 송지효, 개리, 김종국, 이광수, 지석진)이 영원히(012) 함께 하자는 팬심을 담은 것이다.중국 유재석 팬클럽은 ‘함께하는 사랑밭’ 봉사자들 100여명과 함께 오는 30일 서울 노원구 상계동 일대 35가구에 이 연탄을 직접 전달할 계획이다.
마리나 항만에 마리나 클러스터를 조성하는 구체적 방안을 마련하는 연구가 시작됐다. 해양수산부(장관 김영석)는 지난 18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마니라 활성화 방안 연구용역 착수보고회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경제혁신 및 국정과제로 거점형 마리나 항만 조성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번 연구는 마리나 인프라 확충에 이어 국제적인 마리나 도시 육성과 명품 강(江) 마리나 구축방안 등을 수립하여 이를 정책화 시킬 목적으로 진행된다. 마리나 활성화와 마리나 산업 육성을 위해서는 관련 산업의 클러스터화를 통해 관광·제조·서비스업의 동반성장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마리나 산업이 미래 신성장 동력산업으로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고 경제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용역은 국내 마리나 이용환경과 해외 유사사례 분석을 통해 국내 마리나 클러스터 조성 여건을 살피고, 정책적·재정적 지원방안 등 구체적인 육성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해외 마리나 거점 도시의 활성화 요인을 분석하여 마리나 이용객의 편의성 확보하고, 세계적인 주요 마리나 거점도시 및 기업과의 연계를 통하여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국제적인 마리나 도시 육성방안도 함께 제시할 예정이다. 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