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의 새만금 투자 진입이 대폭 낮춰지고 새만금지역 개발에 나서는 개발 사업자에게는 세제 혜택과 같은 각종 인센티브가 주어진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17일 박근혜 대통령 주재로 열린 9차 무역투자진흥회의에서 투자활성화 대책의 일환으로 이같은 새만금 개발 촉진 방안을 발표했다. 국토부에 따르면 역량 있는 국내기업의 입주 촉진을 위해 새만금 내 외국인투자기업과 동일하게 최대 100년간 국·공유 임대 용지의 입주를 허용해 그동안 논란이 돼 왔던 국내기업의 역차별 현상이 해소될 전망이다. 또 일반지역보다 설비투자 보조율이 최대 10%P 가산되는 지방투자촉진보조금 지원우대지역에 새만금지역을 포함시키고 규제 프리존(토지이용규제를 받지 않는 곳) 내 지역전략산업 영위기업에 대한 세제지원 방안과 같은 세제 감면이 검토된다. 새만금 사업지내 국제협력용지 등 미개발 구역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새만금 개발사업 시행자에게 현행 기업도시처럼 법인·소득세를 최대 5년간 감면한다. 뿐만 아니라 공유수면 매립 후 국가에 귀속되는 잔여 매립지를 사업 시행자에게 최대 100년간 장기 임대를 허용하고 사업시행자의 우선 매수 청구기간도 지금의 매립준공 후 1년 이내에서 최대 100년의 임대 종
기업들의 새만금 투자 진입이 대폭 낮춰지고 새만금지역 개발에 나서는 개발 사업자에게는 세제 혜택과 같은 각종 인센티브가 주어진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17일 박근혜 대통령 주재로 열린 9차 무역투자진흥회의에서 투자활성화 대책의 일환으로 이같은 새만금 개발 촉진 방안을 발표했다. 국토부에 따르면 역량 있는 국내기업의 입주 촉진을 위해 새만금 내 외국인투자기업과 동일하게 최대 100년간 국·공유 임대 용지의 입주를 허용해 그동안 논란이 돼 왔던 국내기업의 역차별 현상이 해소될 전망이다. 또 일반지역보다 설비투자 보조율이 최대 10%P 가산되는 지방투자촉진보조금 지원우대지역에 새만금지역을 포함시키고 규제 프리존(토지이용규제를 받지 않는 곳) 내 지역전략산업 영위기업에 대한 세제지원 방안과 같은 세제 감면이 검토된다. 새만금 사업지내 국제협력용지 등 미개발 구역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새만금 개발사업 시행자에게 현행 기업도시처럼 법인·소득세를 최대 5년간 감면한다. 뿐만 아니라 공유수면 매립 후 국가에 귀속되는 잔여 매립지를 사업 시행자에게 최대 100년간 장기 임대를 허용하고 사업시행자의 우선 매수 청구기간도 지금의 매립준공 후 1년 이내에서 최대 100년의 임대 종
부산항만공사(BPA) 항만위원회(위원장 전준수)는 최근 로테르담항 및 함부르크항 등 유럽 주요 선진 항만들을 방문해 부산항과의 교류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BPA의 해외 항만협력사업 확대도 모색했다. BPA 항만위원들은 지난 15일 로테르담 항만공사를 방문하여 글로벌 얼라이언스 변화와 해운경기 침체에 대한 공동대응 방안에 대해 상호 논의했으며, 함부르크 항만공사도 방문해 항만자동화 및 크루즈 터미널 운영 방안과 터미널 간 환적화물 운송(ITT) 등 다양한 현안사항에 대해서 의견을 교류했다. 특히, BPA 항만위원들은 로테르담 항만공사가 진행 중인 오만 및 브라질 등 해외항만투자사업 현황을 면밀히 파악하여 BPA의 해외사업 추진 과정에 다양한 조언과 지원을 했다. BPA 전준수 항만위원장은 "세계 경기침체 장기화와 해상교역량 감소가 우려되는 만큼, 글로벌 항만들을 대상으로 활발한 항만외교활동을 펼쳐 부산항과 BPA의 신성장 동력을 발굴하고 해외사업 진출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인천항만공사 유창근 사장은 세계 4위 컨테이너선사 중국원양해운그룹(CCSC)의 출범에 발맞춰 중국 상하이에서 인천항 세일즈에 나섰다. 인천항만공사(www.icpa.or.kr, IPA)는 유창근 사장이 지난 18일 개최된 CCSC(China Cosco Shipping Corporation) 창립 기념식 참석과 상하이 지역 물류업계 대상 인천항 설명회를 가졌다고 밝혔다. CCSC는 세계 6위, 7위 랭킹에 있던 중국의 코스코(COSCO)와 차이나쉬핑컨테이너라인(CSCL)의 합병으로 탄생하게 된 선사로 합병 이후 컨테이너 수송 능력(예상 보유선대 783척, 예상 시장점유율 8%)에서 세계 4위 위상을 갖게 된 메가 캐리어 선사다. 지난 18일 개최된창립 기념식에는 전세계 유수의 선사와 각국 항만, 해운ㆍ물류업계의 대표자 등 5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유 사장은 CCSC의 VIP 초청자로서 이날 오전 기념식에 이어 CCSC 주관 오찬과 합작교류회를 겸한 만찬까지 전체 일정을 소화하면서 인천항의 주요 고객으로 대두될 것이 확실시 되는 CCSC의 컨테이너 운항책임자와 네트워크를 구축, 신규 선대를 유치할 수 있도록 노력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 행사에 참석한 해운물류시장의
37년만에 이란 경제제재가 해제되며 세계 경제의 신 성장동력으로 부상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선급 (KR, 회장 박범식)이 발빠른 행보를 보여 주목을 받고 있다. 한국선급은 이란 국영선사 IRISL(Islamic Republic of Iran Shipping Lines)과 이란 최대의 탱커선사인 NITC(National Iranian Tanker Company)로부터 27척의 선박, 약 200만 GT에 대하여 등록을 추진 중에 있다고 지난 15일 밝혔다. 이는 한국선급이 지난 2010년부터 이란에 진출하여 테헤란지부를 운영하며, 그동안 수많은 어려움 속에서도 검사와 심사관련 업무 지원은 물론 이란 해사업계의 발전을 위해 기술세미나를 실시하는 등 지속적인 협력 관계를 유지해 왔기 때문으로 평가된다. 또한 지난달 1월 16일 NITC 탱커선사의 창립 60주년 기념행사에 초청받아 기념식에 참석하던 중, 대이란 경제제재가 해제됨에 따라 한국선급과 NITC 양측이 서로 축하하며 기쁨을 배가시켰다는 후문이다. 박 회장은 “한국선급은 그동안 이란 해사업계와 깊은 신뢰관계를 쌓아왔으며 이를 바탕으로 선급시장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확보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며 “앞으로도 이란
한국선주협회(대표 이윤재 회장)는 항공분야 안전관리 기법과 사례 소개를 통한 선박의 안전관리 역량 제고 및 해운분야 활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항공사례를 통한 선박의 안전관리 활용방안」 세미나를 개최한다. 최근 해운기업의 「안전경영」에 관한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선박의 항행안전과 관련한 국내외 규제도 날로 강화되고 있어, 선박과 유사한 운송수단인 항공기의 안전관리 기법과 사례를 선박의 안전관리에 접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해운기업들의 안전관리 역량을 제고하자는 취지로 계획되었다. 오는 25일 오후 3시 부산 중앙동 소재 한진해운빌딩 28층 대강당에서 개최되는 이 날 세미나에는 한국선주협회의 정태순 해무위원장(장금상선 회장)을 비롯한 선사 안전관리 관련 임직원들과 선급, 학계, 연구기관 그리고 해양관련 기관 및 단체 관계자들이 참석하여 주제발표에 이어 질의응답과 토론의 순서로 진행된다. 한편 이날 주제발표를 맡은 한진해운 김맹곤 전무이사는 1980년 대한항공에 입사하여 항공기 안전·정비기술·정비훈련 등의 업무를 거쳐 정비훈련원장(전무이사)으로 근무하다 지난해부터 한진해운 해사본부장을 맡고 있는 안전분야 전문가로서, ‘항공과 선박의 안전품질, 사고와 인적요
해양수산부(장관 김영석)는 해양보호구역의 효율적 관리와 인식증진을 위해 지역주민이 직접 참여하는 ‘2016년 해양보호구역 시민모니터링 사업’을 실시한다. 예부터 바닷가 주민들은 어류의 포획과 산란시기 등 갯벌의 물때에 따라 변화하는 자연을 가까이에서 관찰하며 갯벌을 이용해왔다. 2006년부터 시작한 해양보호구역 시민모니터링은 이처럼 토착 지식을 가진 지역 주민들이 오랜 기간 갯벌을 관찰하면서 갯벌 생태계 변화에 대한 과학적인 기초 데이터를 축적해 정부의 갯벌 관리정책에 기여해 왔다. 뿐만 아니라 조사주기가 길고 일상적인 조사가 어려운 전문가 모니터링을 보완해 왔다. 지난해에는 전국 14개 해양보호구역을 대상으로 시민 모니터링을 실시했다. ‘2015 시민모니터링 결과보고서’에 따르면 무안, 신안, 서천갯벌 습지보호지역 등에서는 보호대상해양생물인 대추귀고둥, 흰발농게를 포함한 다양한 저서생물과 멸종위기종인 넓적부리도요, 알락꼬리마도요 등의 바닷새가 관찰됐다. 대이작도 주변해역 해양보호구역에서는 보호대상해양생물인 대규모 잘피군락이 조사됐다. 이는 해양보호구역의 높은 보전가치를 지역주민이 직접 입증한 의미 있는 자료다. 해양보호구역별 교육·홍보를 통한 지역주
1년 조금 더 전인 작년 초, 가구에서부터 전자제품까지 모든 물품을 싫고 세계 대양을 누비던 선사들은 화물 수요의 급증 기간이 올 것을 기대하고 있었다. 그러나 현실은 그런 식으로 풀리질 못했고 지금도 여전히 상황은 좋지를 못하다. 세계 최대 선박브로커인 클락슨 Plc가 2014년 말에 예측한 바에 따르면 해상교역량은 20푸터 기준으로 7% 성장해 1억8,210만 TEU로 4년 만에 가장 탄탄한 성장을 이룰 것으로 돼있었다. 그러나 실제 증가율은 세계 성장이 약화된 가운데 그 절반으로 나타났다고 이 세계 최대 선박브로커는 전했다. 이 가운데 선대 선복량 또한 증가하면서 선박 운임은 폭락세를 보였다. 덴마크 코펜하겐에 본사를 둔 ABG Sundal Collier Holding ASA의 애널리스트 카스퍼 블롬은 “현재로선 밝은 빛줄기를 찾기 어렵다. 2016년으로 넘어왔음에도 선복량 문제는 해결이 안 되고 그 상태로 머물러있다”고 밝혔다. 지난 1월은 3년만에 컨테이너선 수익에 있어 가장 안 좋은 출발점을 보였다. 클락슨에 따르면 일일 평균이 5,957불에 그쳐 2010년에서 2014년 사이 평균인 7,712불보다 훨씬 낮았다. 세계에서 가장 분주한 컨테이너선
Little more than a year ago, shipping companies hauling everything from furniture to electronics across the world’s oceans were looking forward to a period of surging demand. It didn’t work out that way and they’re still suffering now. Seaborne trade, measured by the industry in 20-foot steel boxes, was meant to expand 7 percent to 182.1 million units, the strongest growth in four years, Clarkson Plc was anticipating at the end of 2014. The actual increase turned out to be less than half that amid weakening global growth, according to the world’s largest shipbroker. With fleet capacity also sw
관광(觀光)은 ‘굴뚝 없는 공장’, ‘녹색 산업’이라 불릴 만큼 공해 없는 친환경 산업인데다 높은 부가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외화가득률 또한 타 산업에 비해 월등히 높아 국가마다 적극 장려하고 육성하는 부문이다. 사람들에게 교통, 숙박, 음식, 오락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이어서 국가 경제에 미치는 부수적 효과가 매우 크다. 더욱이 경제위기가 전 세계에 몰아친 지금의 상황을 생각하면 관광산업의 역할은 지대하다고 생각한다. 자본 부족에 시달렸던 우리의 1970년대를 되짚어 보자. 당시 박정희 정부는 국가경제 재건을 위해 외국자본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시기였다. 대통령도 입만 열면 외자 유치를 외쳤었다. 제조업이 보잘 것 없다보니 수출을 통한 외화획득은 엄두를 낼 수 없었고 그나마 베트남 전쟁 참전과 간호사와 광부 파독(派獨)으로 숨통을 트는 실정이었다. 말하자면 밑천이 짧아 큰돈을 벌지 못하는 처지였다. 이때 찾아낸 묘수는 ‘외국인 관광객’이었다. 일본인을 상대로 한 ‘기생관광’이 바로 그것이다. 당시만 해도 외화벌이의 효자 노릇을 톡톡히 했다. 1966년부터 8년간 5만 명을 파견해 5천명 이상이 사망한 베트남전에서 번 외화가 9억 달러였지만 70년대
(서울 = CSR투데이) 이동통신망에서 안테나를 늘려 데이터 다운로드 속도를 높이는 ‘4중 안테나 기술’(4T4R: 4 Transmitter 4 Receiver)이 국내 처음으로 상용망에 적용된다. SK텔레콤은 LTE 기지국에 기존 2개의 안테나에 2개를 더한 총 4개의 안테나로 데이터를 전송해 다운로드 속도를 두 배 높이는 4중 안테나 기술을 네트워크 시스템에 첫 적용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에 상용망에 적용한 ‘4중 안테나’ 기술은 4개의 안테나를 통해 각각 다른 신호를 보내 2개 안테나를 사용할 때보다 2배 더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이다. 특히 ‘4중 안테나’ 기술은 ‘매시브 미모’(Massive-MIMO)라는 이름으로 5G 표준으로 논의되고 있으며, 이번 상용망 적용으로 SK텔레콤은 MIMO관련 5G 기술 확보에 한발 더 앞서 나가게 됐다는 평가다. 4중 안테나 기술은 다만 기지국 안테나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에도 4개의 안테나가 적용돼야 최대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기술로, 해당 기술이 적용된 단말이 출시되면 본격적인 상용 서비스에 들어가게 된다. 4중 안테나 기술은 현재 광주광역시 일부 지역에 적용돼 있으며, 3월 중 부산 해운대 등
(서울 = CSR투데이) 이동통신망에서 안테나를 늘려 데이터 다운로드 속도를 높이는 ‘4중 안테나 기술’(4T4R: 4 Transmitter 4 Receiver)이 국내 처음으로 상용망에 적용된다. SK텔레콤은 LTE 기지국에 기존 2개의 안테나에 2개를 더한 총 4개의 안테나로 데이터를 전송해 다운로드 속도를 두 배 높이는 4중 안테나 기술을 네트워크 시스템에 첫 적용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에 상용망에 적용한 ‘4중 안테나’ 기술은 4개의 안테나를 통해 각각 다른 신호를 보내 2개 안테나를 사용할 때보다 2배 더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이다. 특히 ‘4중 안테나’ 기술은 ‘매시브 미모’(Massive-MIMO)라는 이름으로 5G 표준으로 논의되고 있으며, 이번 상용망 적용으로 SK텔레콤은 MIMO관련 5G 기술 확보에 한발 더 앞서 나가게 됐다는 평가다. 4중 안테나 기술은 다만 기지국 안테나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에도 4개의 안테나가 적용돼야 최대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기술로, 해당 기술이 적용된 단말이 출시되면 본격적인 상용 서비스에 들어가게 된다. 4중 안테나 기술은 현재 광주광역시 일부 지역에 적용돼 있으며, 3월 중 부산 해운대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