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골격계질환은 산업이 복잡 다양해지면서 발생형태 및 증상이 더욱 확대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하루 종일 모니터 앞에 코를 박고 있는 직장인의 목은 거북이 목처럼 늘어지는 거북목 증후군(Turtle Neck Syndrome)으로 고생하고, 과거에 비해 훌쩍 커버린 학생은 작은 책걸상 때문에 허리통증을 호소하기도 한다.
또한 여성 노동인구의 증가와 산업인구의 고령화로 무거운 물품의 운반이나 장시간의 반복 작업에 의한 어깨, 허리 부상 발생률은 가파른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처럼 다양한 발생형태를 보이고 있는 근골격계질환은 같은 동작을 반복하거나, 무리하게 힘을 쓸 때, 책상모서리 등 날카로운 부위가 신체에 지속적으로 접촉될 때 발생하는 건강장해로서 목, 어깨, 허리, 팔?다리의 신경, 근육 및 그 주변 신체조직에 증상이 나타난다.
초기 증상으로는 간헐적인 통증이나 욱신거림이 나타나고 나중에는 팔을 들지 못할 정도로 행동에 제한을 주거나 밤잠을 설치게 될 정도로 고통을 받는다.
또한 겉으로 보기에는 멀쩡하며 증상이나 통증정도가 매우 주관적이기 때문에 심리적인 부담감이 크고 치료 후에도 재발되기 쉬워 동료간의 불화를 초래하여 직장 내 왕따나 심지어 자살 등 극단적인 문제로 발전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근골격계질환의 발생 요인으로는 반복성, 부적절한 작업자세, 과도한 힘, 접촉 스트레스, 온도 및 진동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하루 종일 생산라인 기계 속도에 맞춰 볼트를 조이거나 제품을 포장하는 등의 반복작업, 작업자의 신체적 특성이나 능력이 설계에 반영되지 못한 생산현장에서의 작업자세는 민감한 신경?근육 조직의 손상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근골격계질환은 저온이나 진동 등 주변 환경요인에도 큰 영향을 받는데 이는 저온으로 인해 혈
관이 수축되고 근육?관절의 유연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며 냉동창고 근로자, 착암기나 임펙트 등 전동공구 사용 근로자는 특히 조심해야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근골격계질환자는 2010년도 전체 업무상 질병자 6986명의 약 78.7%인 5502명이 발
생하였다. 이로 인한 산재보상 비용의 증가와 작업시간의 손실, 일상생활에서의 긴장감, 불편함 등 간접적인 영향을 고려할 때 직, 간접적인 경제적 피해는 훨씬 크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운송관련화물취급 등 근로자에게 발생되는 요통 등 근골격계질환도 꾸준히 발생되고 있다
근골격계질환의 예방을 위해서는 인간공학적인 요소를 고려한 생산라인 및 기계/도구의 설계가 우선되어야 하며, 적절한 작업교대 및 휴식시간의 보장, 작업형태에 따른 스트레칭 체조 실시, 중량물 취급 보조설비의 지급?사용 등 관리적 공학적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근골격계질환에 대한 인식개선을 위하여 올바른 중량물 취급요령, 예방법 등의 교육이 작업현장뿐만 아니라 학교에서부터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정부에서는 2003년 7월 산업안전보건법에「단순반복작업 또는 인체에 과도한 부담을 주는 작업으로 인한 건강장해」조항을 추가하고,「근골격계부담작업의 범위」등 고시를 새로 제정하였다.
또한 50인 미만 중소규모 사업장의 근골격계질환예방을 위한 시설투자를 돕는 재정지원사업을 위해 2011년약 377억원의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사업장별 근골격계 부담작업 유해요인에 대한 조사 및 평가도 지원하고 있다.
이밖에도 최근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는 비제조업종에 대한 특성화 지원 및 세미나를 개최하고, 예방관리 프로그램 등과 관련된 노?사 협력 예방관리 컨설팅 사업을 전개하여 사업장에서 자율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해 나갈 계획이다.
근골격계질환은 기본적으로 이윤의 추구를 위해 끊임없이 이루어지는 생산성 향상을 위한 생산방식의 변화에 기인하나 노?사의 적극적인 참여, 사람을 중심으로 하는 작업장개선과 인식변화를 통한 예방활동이 전개될 때 충분히 예방될 수 있다.
(주)미디어케이앤 서울특별시 서초구 법원로3길 19, 2층 2639호
Tel: 02)3411-3850 등록번호 : 서울, 다 06448, 등록일자 : 1981년 3월 9일, 발행인/편집인 : 국원경(010-9083-8708) Copyrightⓒ 2014 미디어K&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