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동북부 지방을 강타한 대지진의 영향으로 일본 동북부로 향하는 해상물류가 큰 차질을 빚을 것으로 전망된다.
14일 부산항만공사와 해운회사들에 따르면 이번 지진으로 인해 센다이와 하치노헤 등이 나흘째 화물 운송 자체가 불가능한 사태다.
항만이 폐쇄돼 이들 항만으로 화물이 들어가지 못하고 있다. 또한 지진과 쓰나미로 인해 항만에 있던 화물들이 훼손되거나 유실된데 이어 항만시설까지 파괴돼 화물 반출마저 불가능하다.
센다이 항만에 운항해온 한 업체는 화물운송을 포기한 채 대책 마련에 나섰다. 일본에 위치한 대리점과 연락이 끊겨 정확한 피해 규모도 파악하지 못했다.
이 회사 소속 선박은 12일 센다이항만에 입할할 예정이었지만 부산항으로 회항했다.
일본 동북부 항만으로의 선박운항이 당분간 불가능해 화물운송은 엄두도 못내고 있다.
15, 16일 하치노헤와 센다이로 들어갈 예정이던 화물선의 경우 부산으로 화물을 내리지 못하고 그대로 부산으로 돌아오고 있다.
이 업체 관계자는 “항만의 폐쇄로 운항을 취소하고 대체 항만을 찾고 있는데 터미널과 CY의 복구를 기다리고 있다”며 “서비스를 재개하는 시점은 아직 단정지을 수 없다”고 밝혔다.
BPA는 일본 동북부 항만이 폐쇄되면서 도쿄나 요코하마 같은 관동지방 주요 항만에서는 선박 입출항이 늦어지면서 화물 처리가 지연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했다.
이들 부산∼일본 동북부 항만 해운회사는 아키타나 사카타 같은 일본 동북 서안 항만으로 화물을 옮겨 부산항으로 운송하는 방안을 고려중이다.
BPA 관계자는 “부산항과 일본 동북부 항만의 환적물량은 연간 5만개정도여서 큰 영향은 없을 것으로 보이나 수출입화물은 단기적으로 크게 감소할 것으로 걱정된다”며 “해운회사와 일본 수출입업체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말했다.
(주)미디어케이앤 서울특별시 서초구 법원로3길 19, 2층 2639호
Tel: 02)3411-3850 등록번호 : 서울, 다 06448, 등록일자 : 1981년 3월 9일, 발행인/편집인 : 국원경(010-9083-8708) Copyrightⓒ 2014 미디어K&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