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항만의 기능을 고부가가치 항만으로 바꾸고 화물 창출형 항만과 대륙 화물 중계형 항만으로 집중 육성해야 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해양수산부와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은 25일 해양수산부 9층 영상회의실에서 ‘동북아 기업*화물 유치를 위한 우리나라 항만 성장전략’이라는 주제로 설명회를 열었다. 이날 배포된 자료에서 임진수 KMI 정책동향실장은 부가가치 창출형 항만으로의 육성 및 성장을 위해선 △물류중심항만 건설과 해운산업 육성을 통한 물류중심국가건설 △부산*광양항의 육성 △항만관리 운영의 효율성 제고 △정부차원의 해운물류산업 육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해양부는 이번 전략을 바탕으로 부산항과 광양항 등 주요 항만의 물류 인프라를 대폭 개선하는 한편, 항만과 배후 단지의 운영체계도 크게 변화시켜 중국과 일본 기업들이 우리나라에 손쉽게 투자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특히 현재 개발된 비즈니스 모델을 바탕으로 산동지역과 발해지역, 양쯔강지역의 화물유치에 적극 나설 계획이다.
◆"中 항만의 급성장 주목해야"=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항만의 위협 요인으로 △중국항만의 급성장 △일본*대만의 도전 △물류체계 변화 △우리 항만의 위기를 지적했다. 특히 연간 20%대의 고공행진을 하고 있는 중국 항만의 지속성장과 대규모 항만시설 개발을 경계했다. 이와 함께 일본의 수퍼 중추항만 개발 계획, 대만의 아시아 환적센터 추진, 국내 물동량 증가율 둔화 등도 국내 항만 성장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지적됐다.
반면, 서비스 패턴의 변화와 중대형 항만 급성장으로 인한 다중 중심항체계로의 개편이 국내 항만의 비지니스 기회를 확대시킬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또한 중국 화북지역 항만의 시설능력 부족으로 인한 ‘환적수요 증가’라는 반사 이득도 기대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환적화물 유치 적극 나서야"=보고서는 향후 항만 운영과 관련해 △항만 인프라의 확충 △운영체계의 개선 △비지니스 모델 개발 △마케팅 강화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를 위해 무엇보다 환적화물 유치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추진을 강조했다. 보고서는 정부가 적극적으로 유치 전략을 펼칠 경우 오는 2011년까지 산동 지역에서 118만 TEU, 발해권에서 265만 TEU, 그리고 서부 대개발 사업이 진행되고 있는 양쯔강 지역에서 268만 TEU 등 모두 651만 TEU의 화물을 국내에 유치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또 이같은 화물 유치로 5600개 정도의 일자리 창출과 한*일, 한*중 비즈니스 분야 등에서 모두 2조 9000억원의 경제적 파급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전망했다.
보고서는 이밖에 항만 대형화 및 항만배후단지 기능 강화, 동북아 역내 피더망 확충, 혁신적인 환적시스템 개발 등도 앞으로 항만 운영에 있어 필요한 전략 중 하나라고 지적했다.
유용무 기자 ymryu@
(주)미디어케이앤 서울특별시 서초구 법원로3길 19, 2층 2639호
Tel: 02)3411-3850 등록번호 : 서울, 다 06448, 등록일자 : 1981년 3월 9일, 발행인/편집인 : 국원경(010-9083-8708) Copyrightⓒ 2014 미디어K&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