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9 (토)

  • 흐림동두천 16.0℃
  • 흐림강릉 14.6℃
  • 서울 16.0℃
  • 맑음대전 17.5℃
  • 구름조금대구 17.3℃
  • 구름조금울산 19.5℃
  • 구름많음광주 18.4℃
  • 맑음부산 16.6℃
  • 구름많음고창 18.4℃
  • 제주 16.0℃
  • 구름많음강화 13.8℃
  • 맑음보은 15.7℃
  • 구름조금금산 15.0℃
  • 흐림강진군 17.7℃
  • 구름조금경주시 18.6℃
  • 맑음거제 16.5℃
기상청 제공

해운

부산항 물동량, 둔화 기미 보여

부산항의 물동량이 올해 들어 급격히 둔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항만공사(이하 BPA)에 따르면, 올해 5월 부산항 물동량은 1,000,700TEU로 전년동기대비 0.6% 증가에 그쳤으며, 부산항의 물동량 증대를 이끌던 환적화물 또한 437,994TEU로서 4%의 소폭 증가에 머물렀다. 수입 또한 226,831TEU로 전년동기대비 0.1% 감소했으며, 수출도 286,398TEU를 기록, 전년동기대비 2.8% 줄어들었다. 이에 대해 BPA는 "올들어 1~5월까지의 전년대비 평균증가율 누계치 4.7%, 환적화물 11.9%에 비해 급격히 둔화된 수치"라며, "우리나라 환적화물의 약 90%를 차지하는 중국 및 일본 환적화물의 증가율이 떨어진 것에 기인한다"고 밝혔다. 올해 5월의 부산-중국간 환적화물은 11.4% 증가를 보였으며 부산-일본간 환적화물은 10%의 감소를 나타냈다. BPA는 중국화물의 증가는 폭증하는 중국화물을 중국항만에서 모두 처리하지 못하기 때문으로 보이며 일본화물의 감소는 일본과 중국간 물량 증대로 중국, 일본간 직기항 서비스가 증가했기 때문으로 분석하고 있다. 또한 일본↔부산↔중국간 펜둘럼 서비스 증가, 환적화물의 채산성 악화로 인한 피더선사들의 물량유치 기피 등이 주요원인으로 파악하고 있다. BPA는 또 지난 연말 부산항에 반사 이익을 가져다 줬던 미 서안의 항만 적체 현상은 당국의 항운노조원 충원, 철도화차 증대, 터미널 운영 개선 등으로 올해는 크게 완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BPA는 최근 둔화되고 있는 부산항의 물동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연근해 피더선사와의 간담회를 정기적으로 개최해 애로사항을 수렴하고 볼륨 인센티브제를 대폭 개선하는 등 다양한 대책을 마련,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편집국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