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9 (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해운

美 규제 가능성에 中 선박 비중 축소…韓 조선업계 수혜 기대감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 항구. [사진=ILA]


아시아에서 미국으로 향하는 정기 컨테이너선 시장에서 중국산 선박의 비중이 줄어드는 추세가 뚜렷해지고 있다. 업계는 미국 무역대표부(USTR)가 중국 해운사와 중국산 선박을 겨냥한 규제를 검토하는 분위기가 반영된 결과로 보고 있다. 실제 규제가 시행되면 중국 조선·해운업계는 부담을 안게 되고, 그 반사 효과로 한국 조선사의 신조(新造) 수주 기회가 늘어날 수 있다는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

 

29일 덴마크 해운 분석기관 씨인텔리전스(Sea-Intelligence)에 따르면 아시아~미국 서안 노선에 투입되는 중국 선박 비율은 지난 3 30%에서 9 22일 기준 25%까지 하락했다. 약 반 년 만에 5%포인트 줄어든 것으로, 단기간 내 비중이 크게 움직였다는 점이 눈길을 끈다. 씨인텔리전스는 미국이 규제를 본격 시행할 경우 연내 중국 선박 비율이 20% 이하로 떨어질 가능성도 있다고 내다봤다.

 

미국은 최근 중국 조선·해운업 전반에 대한 규제 가능성을 공개적으로 언급해왔다. 미 행정부와 의회 일각에서는 중국이 조선산업에 국가 보조금을 집중 지원하면서 시장 지배력을 확대하고 있다는 점을 문제 삼고 있으며, 이를 견제하기 위한 무역적 조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업계에서는 관세 부과, 항만 입항 규제, 환경·안전 기준 강화 등 다양한 방식의 조치가 논의될 수 있다고 전망한다.

 

중국산 선박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해운사는 특히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한 글로벌 해운사 관계자는미국이 실제 규제를 도입하면 선사 입장에서는 비용 부담뿐 아니라 운항 리스크가 커진다이에 따라 미주 항로에 투입되는 선박을 줄이고 유럽·남미 노선으로 돌리는 등 재배치 전략을 추진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번 변화는 조선업계의 수주 지형에도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한국조선해양, 한화오션, 삼성중공업 등 국내 빅3 조선사는 올해 들어 8월 말까지 전 세계에서 발주된 컨테이너선 58척을 수주해 점유율 23%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연간 수주량(46)을 이미 넘어선 수치다. 반면 중국 조선업계는 같은 기간 221척을 수주해 점유율 72%를 차지했지만, 지난해 같은 기간 87%에 달했던 점유율과 비교하면 확연히 낮아졌다.

 

국내 조선업계는 이 같은 흐름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글로벌 선사 입장에서는 주요 항로인 미주 노선에 투입할 수 없는 선박을 보유하는 것만으로도 큰 부담이 된다향후 발주 과정에서 한국 조선사를 선택하는 사례가 늘어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친환경·스마트 선박 수요 확대와 맞물려 한국 조선사의 경쟁력이 주목받고 있다. 국제해사기구(IMO)의 환경 규제가 강화되면서, 액화천연가스(LNG), 메탄올, 암모니아 등 대체연료 추진선과 디지털 운항 시스템을 탑재한 스마트십 발주가 늘고 있다. 한국 조선사들은 이 분야에서 기술 우위를 확보하고 있어, 미국의 대중(對中) 규제와 글로벌 환경 기준 강화가 동시에 작용할 경우 수주 확대의 기회를 맞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

 

다만 전망을 지나치게 낙관하기는 어렵다는 시각도 존재한다. 중국은 여전히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선박을 건조하는 국가로, 압도적인 생산 능력과 낮은 단가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업계 일각에서는한국 조선사가 기술력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다고 해도, 단기간에 중국의 시장 점유율을 크게 빼앗기는 쉽지 않다규제 효과가 나타나더라도 중장기적인 흐름 속에서 점진적으로 시장 변화가 이뤄질 것이라고 지적한다.

 

결국 미주 항로에서 중국산 선박 비중이 줄어드는 흐름은 단순한 일시적 현상이 아니라, 향후 해운·조선업계 전반에 파급력을 미칠 수 있는 변화의 전조로 해석된다. 실제로 주요 글로벌 선사들은 선박 발주 전략을 다시 짜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한국 조선사가 일정 부분 수혜를 입을 수 있다는 데 업계의 의견이 모이고 있다.

 

향후 관건은 미국 정부의 규제 방식과 강도다. 현재는 규제 방안이 구체적으로 확정된 것은 아니지만, 논의 자체가 본격화되고 있다는 점만으로도 해운·조선업계의 의사 결정에 영향을 주고 있다. 업계 전문가들은미국의 정책 방향이 선명해질수록 글로벌 해운사와 조선사들의 전략도 구체화될 것이라며향후 몇 년간 규제 환경과 친환경 전환이라는 두 축이 세계 해운·조선업 판도를 좌우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