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항 물류 활성화 촉진과 新 성장판 인프라 구축을 위해 세 기관이 서로 힘을 합쳤다. 경기평택항만공사는 경기도․평택지방해양수산청과 평택항 물류 대표단을 구성해 지난 21일부터 27일까지 태국 방콕․람차방, 베트남 호치민 현지에서 평택항 신규 물동량 창출과 투자유치, 물류 활성화 촉진을 위해 포트마케팅을 펼치고 있다. 금번 동남아 포트마케팅은 올해 신설된 2개의 동남아 정기노선(태국․베트남)의 물동량 확보 및 운영 노선 안정화 촉진, 태국상무부에서 주관하는 태국국제물류박람회(TILOG-LOGISTIX) 행사 초청 등을 계기로 이뤄졌다. 먼저 평택항 물류 대표단은 9월 21일부터 23일까지 진행된 태국국제물류박람회는 동남아 최대 규모 물류 박람회로 한국과 무역 교역량이 높은 아세안 지역의 많은 물류 업체들이 참가했다. 이 자리에서 태국을 비롯 인도네시아, 홍콩, 베트남 등 각국의 유관기관과 물류협회, 화주, 물류기업들과의 일대일 협의를 전개하며 평택항의 물류 경쟁력과 우수한 배후 인프라를 소개하는 등 신규 화물유치와 물류 활성화 촉진을 위한 적극적인 마케팅을 펼쳤다. 23일에는 태국항만공사(PAT : Port Authority of Thailand)를 방문해
인천항만공사(IPA)는 지난 21일 오전 인천 중구 하버파크 호텔에서 ‘인천지역 컨테이너선사 및 터미널운영사 초청 간담회’를 개최했다. 간담회에는 IPA 운영본부 각 팀장, 인천에 사무소를 두고 있는 주요 컨테이너선사 소장단,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사 대표자 20여명이 참석했다. 이날 참석자들은 국내외 해운환경에 따른 선사, 터미널 동향을 공유하고 인천항의 컨테이너 물동량 증대를 위한 서비스 개선 방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특히, 최근 한진해운 사태 등 전 세계적인 해운위기가 크게 대두된 시점에서 인천항을 대표하는 해운 책임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이러한 위기 극복 방안을 심도 깊게 논의한 것이 의미있다. IPA는 인천항을 비롯 주요 국내 항만들의 올해 운영성과와 물동량 실적, 주요 국가별 화종 분석 자료를 참석자들과 교환했다. 또한, 대내외 항만운영 여건과 시장 전망을 공유하고, 인천항 고객으로부터 지속적으로 제기된 비경쟁 요소에 대한 개선사항을 설명했다. 김순철 IPA 마케팅팀장은 “금번 간담회를 통해 선사와 터미널운영사가 한 자리에 모여 더 긴밀히 논의 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며, “한진해운 사태 등 해운현안에 유연히 대처할 수 있도록 유관기
지난 9월 20일 인천항 최초로 3척의 크루즈선박이 입항했다. 제16호 태풍 말라카스의 영향권인 일본, 제주 등으로 향하던6척의 크루즈가 인천항으로 뱃머리를 돌렸다. 이로써 6항차, 1만 8천명의 승객이 새롭게 인천항을 찾았다. 인천항만공사(IPA)는 지난 추석 연휴 동안 해양수산부, 법무부 등 관련 기관의 원만한 협의 덕분에 시간이 촉박함에도 불구 인천항 접안이 가능했다고 말했다. 특히 20일, 인천항 최초 3척의 크루즈가 입항하는 장관을 이뤘다. 이날 입항한 크루즈는 10만 5천톤급 Costa Fortuna호, 16만 8천톤급 Quamtum of the Seas호, 59천톤급 MSC Lirica호다. 승객수는 약 1만명에 달한다. 지난 19일 입항한 13만 7천톤급의 Mariner of the seas호에는 인센티브 관광으로 방문한 커티(KELTI)그룹 중국지사 직원들이 탑승하여 국제도시 인천의 매력을 더욱 알릴 수 있었다. 이로써 올해 인천항을 찾을 크루즈는 64항차에서 총 70항차로 증가하였으며, 승객수는 14만 4천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IPA 홍경원 운영본부장은 “이번에 이룬 성과를 바탕으로 향후 지속적으로 크루즈 인천항 입항을 확대하기 위해
카보타지(Cabotage)란 하나의 국가 혹은 하나의 해안 내에 위치한 각 항구 간에 선박을 이용하여 화물을 운송하는 것으로 자국기의 선박으로만 연안무역이 행하여져야 한다는 제한사항, 즉 자국 연안운송사업자를 보호하기 위한 제도이다. 우리나라 또한 해양부의 ‘내항화물운송사업자의 외국적 선박 용선 제한에 관한 고시’로 지난 6월전남 광양항을 제외한 국내 8개 항만에 카보타지를 적용하려 했으나 다른 항만들의 강력한 반발로 무산되었다. 그러나 최근 해양수산부의 지시로 군산해수청이 지난 7년간 무허가로 외국적 선박을 운영한 7개 국내외선사의 356건 위법사항을 무더기로 고발하며 카보타지는 또 다시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게 되었다. 적은 물동량으로 고통 받고 있는 지역 항만 업계 입장에서 외국적선박은 항구 활성화 뿐만 아니라 지역민에게 일자리까지 제공하는 주요 고객이다. 특히 그들이 지역 항구에서 행하는 자동차환적은 하역 작업이 두 번 진행되므로 이 작업이 한 번 진행되는 일반 수출입 화물보다 부가가치가 높아 지역 경제 활성화에 큰 기여를 한다. 그러나 국내 운송업자의 입장은 다르다. ‘내항화물운송사업자의 외국적 선박 용선 제한에 관한 고시’의 제 2조 1항에 ‘국적취
“인천항을 위해 항상 애써주셔서 감사합니다. 즐거운 명절 보내세요.” 인천항만공사(IPA)가 민족 최대 명절인 추석을 맞이하여 13일 오전 공사 방문고객 및 인천내항을 출입하는 화물차 운전자를 대상으로 송편과 음료를 나누어주는 한가위 한마음 행사를 진행했다. 이 행사는 추석을 맞아 인천항 근로자의 노고에 감사를 전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인천항 이용 고객을 직접 만나며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지역사회 발전을 위해 노력하겠다는 IPA의 다짐도 담겨 있다. IPA 홍경원 운영본부장은 “지역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책임을 갖고, 인천항 근로자의 편의와 만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서비스를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부산항만공사(BPA, 사장 우예종)는 (주)한진해운의 법정관리 신청 이후,부산항에서 연계운송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한진해운의 동맹선사들이 투입하고 있는 대체선박을 지원, 부산항의 환적네트워크가 약화되거나 환적물량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동 선박의 항만시설사용료(선박입출항료, 접안료, 정박료)를 감면한다고 밝혔다. 한진해운이 속해 있던 동맹선사인 CKYE(COSCO, K-Line, YangMing, Evergreen)는 한진해운 선박에 실린 자사 화물이 부산항으로 오지 않아 연계 수송에 차질이 발생하고 있어 추가로 임시 선박을 투입해야 하는 등 선대 운영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또한, 한진해운이 단독으로 운항하던 미주, 구주 서비스를 이용해 화물을 수출해 온 화주들도 선박이 섭외되지 않아 납기 지연 등 비상이 걸린 상태다. 이 사태를 수습하기 위해 동맹선사와 국적선사인 현대상선이 대체선박을 잇따라 투입하여 마비된 연계 운송망을 회복할 계획이다. 지난 9일 현대상선의 현대포워드호가 긴급 투입, 우선 가장 시급한 미주화물의 운송이 부분적으로 시작되었다. BPA는 한진해운 사태 조기해결 및 물량 유지 및 유치를 위하여 대체선박 투입을 지원하고, 한진해운
경기도 평택항이 자동차 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본격적인 시동을 걸었다. 경기평택항만공사는 지난 1일부터 7일까지 평택항 물류 활성화 및 양국 교역·투자 증진, 자동차 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유럽IR(벨기에 브뤼셀·독일 슈투트가르트·네덜란드 로테르담)을 전개했다. 올해로 개항 30년을 맞은 평택항은 지난해 자동차 150만3천여대를 처리하며 자동차 수출입처리 6년 연속 전국 1위를 달성했다. 평택항에서 자동차 화물이 처리된 2001년부터 현재까지 자동차 처리대수가 무려 1천4백만여대를 기록 중이다. 이 수치는 자동차(준중형차 기준)를 일렬로 세우면 지구 한 바퀴(4만km)를 크게 웃도는 수치다. 평택항은 현재 벨기에 지브루게항과 독일의 브레멘항에 이어 세계 3위 수준으로 국내시장을 넘어 세계 유수의 자동차 항만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다. 평택항은 자동차부두 5개 선석을 비롯 배후에 화성시의 기아차, 아산의 현대차, 평택의 쌍용차 등 생산라인은 물론 수입자동차 출고 전 차량을 점검 및 보관하는 PDI(pre-delivery inspection)센터를 배후단지에 브랜드별로 구축하고 있다. 이러한 물류 인프라를 바탕으로 경기평택항만공사는 평택항 자동차 클러스터를 조성해
인천항만공사(IPA)가 추석 연휴동안 인천항 연안여객터미널 이용 귀성객을 위한 다양한 이벤트와 서비스를 준비한다. IPA는 여객터미널 대합실 내 해상안전체험관을 열고 고객이 여객선에 비치되어 있는 비상 구명장비의 사용설명을 듣고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했다. 또한 몸이 불편한 노약자나 임산부를 위해 무거운 짐을 대신 들어주는 운반도우미를 배치하고, 주차시설 부족에 대비 인근에 위치한 국제여객터미널 주차장과 연계하여 충분한 주차공간을 확보했다. 어린이 고객을 위한 맞춤 서비스도 제공한다. 터미널 앞마당에 무료 캐리커처와 풍선아트 이벤트를 진행하고, 전통 민속놀이인 투호놀이, 제기차기, 윷놀이 등을 즐길 수 있는 놀이공간을 마련하여 여객선을 기다리는 동안 무료함을 달랠 수 있도록 했다. IPA 홍경원 운영본부장은 "추석연휴 동안 귀성객과 도서지방을 방문하는 여행들에게 즐거운 여정이 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준비했으며, 앞으로도 고객 맞춤 서비스를 지속 발굴하겠다“고 말했다.
오는 17일부터 이틀에 걸쳐 인천신항 선광신컨테이너터미널(SNCT)에 컨테이너크레인 2기가 추가로 설치된다. SNCT에 새롭게 설치되는 장비는 컨테이너 하역용으로 특별히 설계된 크레인(STS : Ship To Shore)으로, 현재 1단계로 개장된 안벽 구간(410m) 내 설치된 5기까지 총 7기의 안벽 크레인이 운용된다. 새롭게 SNCT에 설치되는 크레인은 무게 985톤, 총길이 123m, 높이 102m의 중대형 크레인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된 설비다. 700m의 레일 위를 움직이며 18열의 하역작업이 가능한 규모로 Out reach(바다쪽 작업 가능 길이)는 51m이며, 시간당 50개의 컨테이너를 하역할 수 있다. 크레인 2기를 실은 선박은 오는 17일 SNCT에 접안 후 18일까지 하역작업을 마칠 예정이다. 이후 11월 중순경 시운전과 전산시스템 설치 등 마무리 작업을 수행한다. 한편, SNCT는 내년 1월 전체면적 48만㎡, 안벽 길이 800m의 부두 전체를 개장한다. 인천신항의 전면 개장으로 원양항로 서비스와 대형선박의 입출항이 원활해져 인천항의 물류서비스가 더욱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인천항만공사 김종길 물류육성팀장은 “중형 선박에 적합한 크레인
인천항과 미국을 잇는 원양항로 CC1, CC2 Combo 노선이 OOCL UTAH호의 입항으로 본격적인 서비스를 시작했다. CC1, CC2 Combo(이하 콤보) 서비스는 G6 얼라이언스가 인천항을 기항하던 기존 Central China 1 노선과 인천항을 기항하지 않던 Central China 2 노선이 통합된 신규 정기 컨테이너노선 서비스다. 지난 9일 입항한 OOCL UTAH호는 CC1 서비스를 운항하던 6,800TEU급 선박보다 적재능력이 더 큰 8,888TEU급 대형선이다. 선박 길이가 335m, 폭이 43m에 달한다. 이는 지금까지 인천항에 입항했던 컨테이너선박 중 가장 큰 크기다. UTAH호 외에도 OOCL의 7,500TEU급 선박 4척과 APL의 6,500TEU급 선박 1척이 투입되며, 매주 금요일 인천신항 선광신컨테이너터미널(SNCT)에 기항한다. 인천항만공사(IPA)에 따르면, 얼라이언스 선대조정으로 6주간의 운항 공백 발생 이후 첫 입항한 이날 UTAH호의 작업량은 143TEU였다. 향후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는 현대상선의 영업이 강화되면 물동량은 곧 회복될 전망이다. 콤보 서비스로 신선도 유지를 위해 운송시간 단축이 중요한 과일, 축산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