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만공사는 지난 8일 중회의실에서 “부산항 선박급유업계 초청 상생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 날 간담회에는 한국급유선선주협회 문현재 회장을 비롯하여 급유선 10개 업체 대표들이 참석했다. 이번 간담회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서비스개선TF를 구성해 운영하고 있는 “불편없이 일하기 좋은 부산항 만들기”의 후속조치로서, 부산항만공사가 발표한 개선과제는 △ 급유선박 벙커링시 안전구역 확보, △ 급유선 선원을 위한 간이 휴게소 설치, △ 신항 건설부두에 선박 급유선 접안시설 확보, △노후 선박의 신조비용 자금 조달 지원 등이다. 부산항만공사는 정부·지자체·급유선업계와 역할을 분담하여 과제에 대해 적극 개선해 나갈 것을 약속했다. 또한 발굴과제 및 건의사항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위해 이와 같은 소통의 자리를 격월로 정례화하기로 했다. 우예종 부산항만공사 사장은 “앞으로도 부산항 발전 주역의 한축인 급유선 업계를 대상으로 지원체계 강화, 협력과제 활성화, 공정거래 개선 등 다양한 활동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프리스란트(Friesland)의 쇼어텐스(Schortens)에 본사를 두고 있는 물류회사 노트프로스트(Nordfrost)는 빌헬름스하벤(Wilhelmshaven)의 야데베저항의 배후단지에 냉장창고 운영을 시작했다. 노트프로스트 측은 1월 22일에 첫 번째 냉동제품 컨테이너가 새로운 건물로 운송되었다고 밝혔다. 컨테이너는 야데베저항에 하역되여 노트프로스트의 냉동창고로 운송되었다. 이 공장은 약 35,000개의 팔레트를 수용 할 수 있다. 쇼크동결(순간적 냉동기술), 가공 및 중간 저장을 위한 상자 및 가금류 제품의 신선한 고기가 유입된다. 어류의 경우, 원료는 빌헬름스하벤의 컨테이너항을 통해 수입된다. 고기와 가금류는 주로 빌헬름스하벤을 통해 수출된다. 관계자 측에 따르면 중국산 냉동야채는 3월부터 빌헬름스하벤에 수입이 시작될 것으로 예상된다. 2019년 말까지 냉동화물 고층 창고 건설 지금까지 많은 협상과 토론을 통해 노트프로스트의 CEO 홀스트 바텔스(Horst Bartels)는 3개월 만에 기존 콜드체인 물류창고가 80%의 면적 사용에 도달했다고 평가했다. 따라서 노트프로스트는 이미 두 번째 신축을 계획 중에 있으며 신축창고로 최근 완성된 콜드스토어와 인
프리스란트(Friesland)의 쇼어텐스(Schortens)에 본사를 두고 있는 물류회사 노트프로스트(Nordfrost)는 빌헬름스하벤(Wilhelmshaven)의 야데베저항의 배후단지에 냉장창고 운영을 시작했다. 노트프로스트 측은 1월 22일에 첫 번째 냉동제품 컨테이너가 새로운 건물로 운송되었다고 밝혔다. 컨테이너는 야데베저항에 하역되여 노트프로스트의 냉동창고로 운송되었다. 이 공장은 약 35,000개의 팔레트를 수용 할 수 있다. 쇼크동결(순간적 냉동기술), 가공 및 중간 저장을 위한 상자 및 가금류 제품의 신선한 고기가 유입된다. 어류의 경우, 원료는 빌헬름스하벤의 컨테이너항을 통해 수입된다. 고기와 가금류는 주로 빌헬름스하벤을 통해 수출된다. 관계자 측에 따르면 중국산 냉동야채는 3월부터 빌헬름스하벤에 수입이 시작될 것으로 예상된다. 2019년 말까지 냉동화물 고층 창고 건설 지금까지 많은 협상과 토론을 통해 노트프로스트의 CEO 홀스트 바텔스(Horst Bartels)는 3개월 만에 기존 콜드체인 물류창고가 80%의 면적 사용에 도달했다고 평가했다. 따라서 노트프로스트는 이미 두 번째 신축을 계획 중에 있으며 신축창고로 최근 완성된 콜드스토어와 인
일렉트로모빌리티(Electromobility)는 또한 해상화물 운송분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네덜란드의 포트-라이너(Port-Liner)에서 전기 모터로 작동되는 내륙수운 컨테이너선을 도입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이 새로운 모델은 8월에 가동을 시작할 예정이다. 앤트워프항의 대표인 안닉 디어크스(Annik Dirkx)는 DVZ에서 “우리는 이 내륙선박이 앤트워프 항을 버델 - 위트 (네덜란드 - 벨기에 국경)터미널과 연결하는데 사용될 것으로 기대하고있습니다.”라고 발표했다. 항만청은 이 프로젝트에 3년 동안 20만 유로를 투자하였으며, 유럽연결네트워크(Cef) 프로그램에서 7백만 유로를 받는다. 또한 네덜란드의 아스토(Asto)와 겔리아(Gelria) 조선소에는 224 TEU 규모의 전기동력 내륙선 7척이 건조 될 예정이다. 그 중 5 척은 틸버그(Tilburg)와 로테르담(Rotterdam)에 있는 GVT 터미널 사이를 연결하게 될 것이다. 길이 110m, 폭 11.40m 선박의 전기모터는 4개의 전기베터리(e-powerbox)로 구동되며 항해가능 제한시간은 18시간이다. 이 시스템은 기존의 내륙선박에도 설치가 가능하며 이 전기베터리를 통하여 운행 가능
프리스란트(Friesland)의 쇼어텐스(Schortens)에 본사를 두고 있는 물류회사 노트프로스트(Nordfrost)는 빌헬름스하벤(Wilhelmshaven)의 야데베저항의 배후단지에 냉장창고 운영을 시작했다. 노트프로스트 측은 1월 22일에 첫 번째 냉동제품 컨테이너가 새로운 건물로 운송되었다고 밝혔다. 컨테이너는 야데베저항에 하역되여 노트프로스트의 냉동창고로 운송되었다. 이 공장은 약 35,000개의 팔레트를 수용 할 수 있다. 쇼크동결(순간적 냉동기술), 가공 및 중간 저장을 위한 상자 및 가금류 제품의 신선한 고기가 유입된다. 어류의 경우, 원료는 빌헬름스하벤의 컨테이너항을 통해 수입된다. 고기와 가금류는 주로 빌헬름스하벤을 통해 수출된다. 관계자 측에 따르면 중국산 냉동야채는 3월부터 빌헬름스하벤에 수입이 시작될 것으로 예상된다. 2019년 말까지 냉동화물 고층 창고 건설 지금까지 많은 협상과 토론을 통해 노트프로스트의 CEO 홀스트 바텔스(Horst Bartels)는 3개월 만에 기존 콜드체인 물류창고가 80%의 면적 사용에 도달했다고 평가했다. 따라서 노트프로스트는 이미 두 번째 신축을 계획 중에 있으며 신축창고로 최근 완성된 콜드스토어와 인
연안여객선 안전을 꼼꼼하게 챙길 국민 점검단이 공식 출범한다. 해양부는 8일 여의도 해운빌딩에서 김영춘 장관 주재로 ‘여객선 국민안전감독관 출범식’을 개최하고, 총 15명(남 11명, 여 4명)의 감독관을 위촉한다고 밝혔다. 여객선 국민안전감독관은 여객선 안전관리실태를 점검하기 위해 올해 처음 선발된 민간 현장점검단이다. 지난 1월부터 진행한 공개모집에 총 76명이 지원하여 약 5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으며, 올해 연말까지 11개월간 활동하게 된다. 이번에 선발된 15명의 감독관들은 선박안전 관련업종 종사자를 비롯하여 다양한 분야의 경력자들로 구성되었으며, 20대에서 60대에 이르기까지 전 연령에 걸쳐 있다. 이들 가운데에는 선박검사원으로 32년 간 근무하고 여객선 운항 심사위원으로 활동한 경력이 있는 지원자를 비롯하여 항해사 자격 소지자, 해사안전교육 강사 등 선박 전문가들이 다수 포함되었다. 그 외에도 프리랜서 기자, 현장 안전진단 강사, 안전 관련 민간협회(국제통합안전협회) 이사장 등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해상안전 지키기에 동참하고 싶다는 강한 의욕을 보여 준 지원자들이 선정되었다. 이들은 위촉식 이후 즉시 활동을 시작하여 여객선 안전관리 실태를 직접
인천항만공사는 인천항 국제여객터미널을 이용하는 중화권 이용객의 정보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국제여객터미널 모바일 중문 웹서비스(www.icferry.or.kr/mchn)’를 지난 8일부터 신규 오픈했다. IPA는 2016년 12월 여객터미널 이용객들이 운항관련 정보를 빠르고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국문·중문 홈페이지(www.icferry.or.kr, www.icferry.or.kr/chn)를 전면적으로 개선했지만, 모바일로 직접 접속할 수 있는 ‘모바일 중문 웹서비스’는 운영하지 않는 상황이었다. 따라서, 국제여객터미널의 주요 이용객인 중화권 고객을 위한 웹서비스를 강화하기 위해 기존 여객터미널 홈페이지를 중문으로 번역하고, 모바일로도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2017년 11월부터 서비스 구축을 위해 노력해왔다. 이번 ‘모바일 중문 홈페이지’의 신규 오픈으로 제1·2국제여객터미널의 운항일정을 비롯하여 여객운임, 선사정보 등 터미널 이용에 필요한 정보를 모바일과 태블릿을 통해 장소제약 없이 쉽게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인천항만공사 남봉현 사장은 “‘인천항 중문 모바일 웹서비스를 평창올림픽 기간에 앞서 오픈해 동계올림픽의 성공적 개최와 중화권 이용객들의 편의를 높
현대상선은 최근 싱가포르에 위치한 중량화물선사인 AAL(Austral Asia Line)사와 전략적 제휴를 맺었다. 이번 전략적 제휴로 AAL사가 보유한 중량화물선(31,000DWT급, 700톤 Crane Capacity) 2척을 현대상선이 용선해서 운영하고, AAL사는 일부 선복을 공유해서 사용하게 된다. 국내 최대 중량화물선사인 현대상선은 이번 제휴로 ‘아시아~중동 서비스’에 투입된 선박이 기존 4척에서 총 6척으로 늘어나게 된다. AAL사 선박 2척중 1척은 오는3월, 추가 1척은 하반기에 각각 투입될 예정이다. 운영선박이 늘어남에 따라 현대상선의 ‘아시아~중동 서비스’에 대한 중량화물 운송 분야의 시장점유율도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 중량화물선은 주로 EPC(Engineering, Procurement, Construction)회사의 플랜트 관련 건설장비, 공장 설비 등을 실어 나른다. 현대상선 관계자는 “글로벌 중량화물선사인 AAL사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고객에게 더 높은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며, “고객 서비스 증진을 기반으로 국내 제1의 중량화물선사로서의 입지를 공고히 하고 수익 창출에 적극 노력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또한 “향
국내 최대 선원노조연합단체인 전국해상산업노동조합연맹이 3개 연맹으로 갈라지는 초유의 사태가 일어난 지 4년 만에 단일연맹으로 재탄생했다. 전국해상산업노동조합연맹과 전국상선선원노동조합연맹은 5일 오후 2시 부산 코모도호텔 1층 그랜드볼룸에서 합병대의원대회를 개최하고, 양 연맹 합병에 대한 안건을 모두 의결·통과시켰다. 양 연맹은 이날 대회를 통해, ‘전국해상선원노동조합연맹’으로 새 명칭을 정하고, 새로운 수장으로는 정태길 해상노련 위원장을 합의 추대로 선출했다. 의장단을 구성하는 부위원장들은 투표를 통해 새롭게 선출했고, 신설된 상임부위원장직에는 입후보자가 없었다. 선원노련 정태길 위원장은 선출 직후 “재신임을 통해 다시 선원노련 위원장으로서 일할 수 있는 기회를 주신 동지 여러분께 경의를 표한다”며 “지난해 1월 해상노련 위원장직에 도전하며 3개 노동조합연맹 통합을 공약으로 내걸었고, 오늘을 그 분열의 고통에 마침표를 찍는 날이며, 1년 전의 약속을 지키게 된 날”이라고 소감을 밝혔다. 이어, 정 위원장은 “국내 최초, 최대, 선원노동운동 연합단체로서 동지들이 피와 땀으로 이룬 선원노련의 72년 역사와 전통을 계승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고 또 한 번 공약했다
글로벌 물류 선도기업인 DHL이 지난 5일 Global Trade Barometer를 발표했다. 이 분석 자료는 한국의 생산 혁신과 수출 원동력을 이끌고 있는 하이테크 산업이 다음 분기 무역 성장을 촉진할 것으로 내다보았다. DHL이 처음으로 발표한 Global Trade Barometer는 글로벌 무역 발전의 초기 지표로 자료 산출을 위해 인공지능, 빅데이터, 예측 분석이 활용되었다. 이 자료에 따르면 한국 하이테크 산업의 교역량은 지난해 말과 비교하여 소폭 감소하겠지만 여전히 국가 무역 성장을 뒷받침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 제조사들은 세계 반도체 시장에서 약 20%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메모리칩 생산량으로는 전 세계의 60% 이상을 기록하고 있다. 이는 지난 1년 사이에 급격하게 증가한 수치이다. DHL Global Forwarding일본법인 대표이사 및 북아시아 지역 CEO이자 아태지역 부가가치 서비스 부문 대표를 겸임하고 있는 찰스 카우프만(Charles Kaufmann)은 “DHL Global Trade Barometer에 따르면 지난 해 기록한 한국 하이테크 분야의 무역 규모 급성장세가 한풀 꺾일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기술분야 제조업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