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양수산개발원은 최근 독일 HSB(Hochschule Bremerhaven,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s Bremerhaven)와 학술교류 및 국제 공동연구 추진을 위한 MOU 협정을 체결했다. 이번 MOU는 지난 2017년 2월 KMI에서 개최된 KMI-독AGKN 공동세미나를 통한 교류를 시작으로 해운·해사, 해양환경, 항만관리 분야 등의 공동연구를 위한 HSB 측의 공식 초청 이후 양 기관의 상호 협력을 바탕으로 체결되었다. 독일은 세계 최초로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대응을 시작한 국가로, 현재 스마트 팩토리에 기반한 리쇼어링, 블루칼라·화이트칼라의 경계를 넘어선 뉴칼라 일자리 확대 등 수많은 일자리와 신규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며 4차 산업을 선제적으로 견인하고 있다. KMI는 HSB와의 협업으로 이와 같은 전략을 벤치마킹하고, 빅데이터 기반의 신산업들을 활용하여 양질의 일자리 육성 방안 등에 대한 연구 또한 활발히 진행할 예정이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양창호 원장은 “이번 MOU 체결을 통해 양 기관의 공동연구 수요 발굴을 촉진하고, 공동연구를 통해 항만물류, 해운·해사 전문 분야의 국제협력을 확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
지난 11~16년, 우리나라 물류분야 R&D 사업화 실적은 총 630억 원 중 27.5억 원 수준으로 약4.4%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국토교통 및 해양수산 R&D 중 물류기술이 차지하는 비중은 2% 수준으로, 그나마도 공급자 중심의 기술개발과 하향식(Top-down) 과제 발굴에 치우쳐 효과적인 상품화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는 물류기업과 화주를 대상으로 ‘2017년 물류기술 수요조사’를 실시하여 총 22개의 2018년 물류기술 개발 과제를 선정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콜드체인, 3D 작업인력, 물류센터, 운송수단, 물류용기 등 5개 부문이 가장 주목받는 물류산업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물류기업이 가장 필요로 하는 기술로는 4차 산업혁명 기술(IoT, 빅데이터 등)과 결합을 통한 물류 및 에너지비용의 절감, 작업자 보호, 시설 안전 및 보안사고 예방, 인건비 절감 등을 꼽았다. 하지만 물류기업 중 절대 다수에 해당하는 100인 미만 중소기업은 비용의 문제로 위와 같은 신기술 도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클라우딩 기술 등 저렴한 비용으로 기술을 이용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 화주의 경우 화물의 위치와 상태를
빌헬름스하벤 항만협회(WHV e.V.)는 빌헬름스하벤(Wilhelmshaven)에 새로운 추가적인 컨테이너 터미널 설립과, 폭스바겐 그룹(VW Group)이 야데베저포트(Jadeweser-Port)에 새로운 완성차공장 설립이 2,000가지 이상의 새로운 일자리와 훈련장소를 창출하는 것을 인상적으로 보며 큰 성공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 이라고 전망했다. 빌헬름스 항만협회는 이러한 결정들이 새로운 기업들이 항만으로 유치되는 막대한 효과를 창출한다고 전망했다. 마찬가지로, 추가 선적회사가 대체적으로 유로게이트(Eurogate)컨테이너 터미널을 이용할 수 있다는 것에도 매력도가 엄청나게 증가 할 것이라고 보여지고 있다. 결정된 사항들 2019년부터 폭스바겐(Volkswagen), 아우디(Audi), 폭스바겐 상업용 차량은 빌헬름스하벤의 야데베저포트 항만에서 포장 된 후 멕시코, 중국 및 미국을 포함한 기타 15개국 25개 지역으로 운송된다. 새로운 포장 센터와 함께, 폭스바겐 그룹은 해외 자동차제조업체들의 자동차부품 수요증가에 대응하고 있다. 더 많은 자동차부품 현지생산을 위한 전조등, 오디오 시스템 또는 조향 휠이 수출될 것이다. 사업규모 확장을 위해 폭스바겐
빌헬름스하벤 항만협회(WHV e.V.)는 빌헬름스하벤(Wilhelmshaven)에 새로운 추가적인 컨테이너 터미널 설립과, 폭스바겐 그룹(VW Group)이 야데베저포트(Jadeweser-Port)에 새로운 완성차공장 설립이 2,000가지 이상의 새로운 일자리와 훈련장소를 창출하는 것을 인상적으로 보며 큰 성공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 이라고 전망했다. 빌헬름스 항만협회는 이러한 결정들이 새로운 기업들이 항만으로 유치되는 막대한 효과를 창출한다고 전망했다. 마찬가지로, 추가 선적회사가 대체적으로 유로게이트(Eurogate)컨테이너 터미널을 이용할 수 있다는 것에도 매력도가 엄청나게 증가 할 것이라고 보여지고 있다. 결정된 사항들 2019년부터 폭스바겐(Volkswagen), 아우디(Audi), 폭스바겐 상업용 차량은 빌헬름스하벤의 야데베저포트 항만에서 포장 된 후 멕시코, 중국 및 미국을 포함한 기타 15개국 25개 지역으로 운송된다. 새로운 포장 센터와 함께, 폭스바겐 그룹은 해외 자동차제조업체들의 자동차부품 수요증가에 대응하고 있다. 더 많은 자동차부품 현지생산을 위한 전조등, 오디오 시스템 또는 조향 휠이 수출될 것이다. 사업규모 확장을 위해 폭스바겐
빌헬름스하벤 항만협회(WHV e.V.)는 빌헬름스하벤(Wilhelmshaven)에 새로운 추가적인 컨테이너 터미널 설립과, 폭스바겐 그룹(VW Group)이 야데베저포트(Jadeweser-Port)에 새로운 완성차공장 설립이 2,000가지 이상의 새로운 일자리와 훈련장소를 창출하는 것을 인상적으로 보며 큰 성공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 이라고 전망했다. 빌헬름스 항만협회는 이러한 결정들이 새로운 기업들이 항만으로 유치되는 막대한 효과를 창출한다고 전망했다. 마찬가지로, 추가 선적회사가 대체적으로 유로게이트(Eurogate)컨테이너 터미널을 이용할 수 있다는 것에도 매력도가 엄청나게 증가 할 것이라고 보여지고 있다. 결정된 사항들 2019년부터 폭스바겐(Volkswagen), 아우디(Audi), 폭스바겐 상업용 차량은 빌헬름스하벤의 야데베저포트 항만에서 포장 된 후 멕시코, 중국 및 미국을 포함한 기타 15개국 25개 지역으로 운송된다. 새로운 포장 센터와 함께, 폭스바겐 그룹은 해외 자동차제조업체들의 자동차부품 수요증가에 대응하고 있다. 더 많은 자동차부품 현지생산을 위한 전조등, 오디오 시스템 또는 조향 휠이 수출될 것이다. 사업규모 확장을 위해 폭스바겐
프리스란트 지역의 냉동식품물류회사인 노트프로스트(Nordfrost)는 독일에서 창고보관 및 유통을 통해 전국의 식품물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자 한다. 노트프로스트의 CEO 홀스트 바텔스(Horst Bartels)는 "올해는 신선 식품 물류 부문에 진입 할 것입니다."라고 DVZ(독일물류신문)을 독점적으로 발표했다. 이 단계의 결정적인 요소는 유제품, 육류식품, 제과 같은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실정에 대응책은 2016년 나겔 그룹(Nagel Group)이 파산 위기에 놓였던 물류회사인 트랜스더모스(Transthermos)를 인수한 것에 대한 노트프로스트의 전략이다. 나겔 그룹은 2016년부터 이 분야에서 꾸준하게 영업실적을 올리고 있다. “동 베를린의 페어스몰트(Versmold)라는 지역의 식품물류 분야에서는 이미 시너지 효과를 전국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회사가 운영하는 모든 국가에서 냉동식품의 유통망을 최적화하기 시작했습니다.” 라고 나겔 그룹의 운영을 담당하는 뵈른 슈니더쾨터(Bjorn Schniederkotter)는 다음과 같이 보고했다. 현재 노트프로스트도 이와 유사하게 냉동식품과 신선식품물류를 결합하는 것을 경영전략으로
프리스란트 지역의 냉동식품물류회사인 노트프로스트(Nordfrost)는 독일에서 창고보관 및 유통을 통해 전국의 식품물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자 한다. 노트프로스트의 CEO 홀스트 바텔스(Horst Bartels)는 "올해는 신선 식품 물류 부문에 진입 할 것입니다."라고 DVZ(독일물류신문)을 독점적으로 발표했다. 이 단계의 결정적인 요소는 유제품, 육류식품, 제과 같은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실정에 대응책은 2016년 나겔 그룹(Nagel Group)이 파산 위기에 놓였던 물류회사인 트랜스더모스(Transthermos)를 인수한 것에 대한 노트프로스트의 전략이다. 나겔 그룹은 2016년부터 이 분야에서 꾸준하게 영업실적을 올리고 있다. “동 베를린의 페어스몰트(Versmold)라는 지역의 식품물류 분야에서는 이미 시너지 효과를 전국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회사가 운영하는 모든 국가에서 냉동식품의 유통망을 최적화하기 시작했습니다.” 라고 나겔 그룹의 운영을 담당하는 뵈른 슈니더쾨터(Bjorn Schniederkotter)는 다음과 같이 보고했다. 현재 노트프로스트도 이와 유사하게 냉동식품과 신선식품물류를 결합하는 것을 경영전략으로
프리스란트 지역의 냉동식품물류회사인 노트프로스트(Nordfrost)는 독일에서 창고보관 및 유통을 통해 전국의 식품물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자 한다. 노트프로스트의 CEO 홀스트 바텔스(Horst Bartels)는 "올해는 신선 식품 물류 부문에 진입 할 것입니다."라고 DVZ(독일물류신문)을 독점적으로 발표했다. 이 단계의 결정적인 요소는 유제품, 육류식품, 제과 같은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실정에 대응책은 2016년 나겔 그룹(Nagel Group)이 파산 위기에 놓였던 물류회사인 트랜스더모스(Transthermos)를 인수한 것에 대한 노트프로스트의 전략이다. 나겔 그룹은 2016년부터 이 분야에서 꾸준하게 영업실적을 올리고 있다. “동 베를린의 페어스몰트(Versmold)라는 지역의 식품물류 분야에서는 이미 시너지 효과를 전국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회사가 운영하는 모든 국가에서 냉동식품의 유통망을 최적화하기 시작했습니다.” 라고 나겔 그룹의 운영을 담당하는 뵈른 슈니더쾨터(Bjorn Schniederkotter)는 다음과 같이 보고했다. 현재 노트프로스트도 이와 유사하게 냉동식품과 신선식품물류를 결합하는 것을 경영전략으로
지난 11~16년, 우리나라 물류분야 R&D 사업화 실적은 총 630억 원 중 27.5억 원 수준으로 약4.4%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국토교통 및 해양수산 R&D 중 물류기술이 차지하는 비중은 2% 수준으로, 그나마도 공급자 중심의 기술개발과 하향식(Top-down) 과제 발굴에 치우쳐 효과적인 상품화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는 물류기업과 화주를 대상으로 ‘2017년 물류기술 수요조사’를 실시하여 총 22개의 2018년 물류기술 개발 과제를 선정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콜드체인, 3D 작업인력, 물류센터, 운송수단, 물류용기 등 5개 부문이 가장 주목받는 물류산업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물류기업이 가장 필요로 하는 기술로는 4차 산업혁명 기술(IoT, 빅데이터 등)과 결합을 통한 물류 및 에너지비용의 절감, 작업자 보호, 시설 안전 및 보안사고 예방, 인건비 절감 등을 꼽았다. 하지만 물류기업 중 절대 다수에 해당하는 100인 미만 중소기업은 비용의 문제로 위와 같은 신기술 도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클라우딩 기술 등 저렴한 비용으로 기술을 이용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 화주의 경우 화물의 위치와 상태를
해양수산부·한국선주협회·한국무역협회·대한상공회의소와 함께 지난 13일 대한상공회의소 20층 챔버라운지에서 ‘국민경제 발전을 위한 무역-상공-해운 상생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행사에는 김영춘 해양수산부 장관을 비롯해 이윤재 선주협회 회장, 김영주 무역협회 회장, 박용만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및 각 단체 임직원이 참석했다. 이번 업무협약으로 네 기관이 공동 참여하는 ‘해상수출입 경쟁력 강화 상생위원회’를 발족하고, 주요 사안에 대한 협의를 진행한다. 기관 간 긴밀한 협의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협력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해운업계의 재도약 기반을 마련하고, 무역·상공 분야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힘쓸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