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장관 유기준)는 4월 15일 평택․당진항에서 ‘평택․당진항 자동차 부두 건설공사’ 착공식을 개최한다.평택․당진항 자동차 부두 건설공사는 5만 톤급 1선석(길이 290m)을 축조하는 사업으로 2018년 1월까지 총공사비 약 758억 원의 민간자본이 투입된다. 부두가 완공되면 자동차 약 30만대를 추가로 처리할 수 있게 된다.평택․당진항은 현재 총 4선석(5만 톤급 3선석, 3만 톤급 1선석)의 자동차부두를 가진 국내 최대의 자동차 처리 항만이다. 평택․당진항의 하역능력은 연간 약 120만대이나 2013년도에 145만대, 지난해에는 151만대를 처리하는 등 적정 하역능력을 초과하여 그동안 화물을 신속하게 처리하는데 불편을 겪어왔다.이에 따라 해양수산부는 늘어나는 자동차 화물을 원활하게 처리하기 위하여 민간자본을 활용하여 추가로 1선석을 조속히 건설하기로 결정하였다.지난해 6월과 11월에 평택지방해양수산청은 사업 시행허가 및 실시계획을 승인하였고, 사업시행자인 현대글로비스는 2015년 1월에 공사를 착수하였다.지난해 국내 자동차 처리량은 총 635만대로 평택․당진항은 그중 24%인 151만대를 처리하여 우리나라 최대의 자동차 처리 항만으로 자리매김했다.
인천항에서 동남아시아로 향하는 정기 컨테이너 노선 서비스가 추가로 개설됐다.인천항만공사(www.icpa.or.kr, 사장 유창근)는 국적선사인 고려해운와 중국 국적 선사 SITC·덴마크 국적 선사인 MCC가 동남아시아 신규 컨테이너 항로를 개설했다고 지난 10일 밝혔다.서비스 명칭은 VTX4(Vietnam Thailand Express 4)로, 인천항과 베트남, 태국 항만을 연결하는 노선이다. SITC가 2척, 고려해운과 MCC가 각 1척씩 총 4척의 선박이 주 1회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이와 관련, VTX4 노선의 첫 배 케이프 매그너스(CAPE MAGNUS)호가 지난 10일 오후 인천 남항의 인천컨테이너터미널에 선체를 붙였다. 이 선박은 약 600TEU의 화물 하역작업을 마친 뒤 다음 기항지를 향해 출항했다. 인천항만공사(IPA)에 따르면 이 신규 서비스를 통해 연간 약 3만TEU의 물동량 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인천항 컨테이너 정기항로 수 역시 기존의 43개에서 44개로 늘어나 베트남 및 태국지역과의 항로 다변화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IPA 유창근 사장은 “새로운 서비스가 동남아시아 권역에 대한 화물운송 수요 증가 해소에 큰 도움이 될
세계해사대학(WMU) 문성혁 교수 외 재학생 17명은 2015년 4월 13일 부산항을 방문하여 부산항만공사(BPA, 임기택 사장)의 항만안내선을 이용, 북항 터미널 및 재개발 현장을 견학하고 부산항의 운영현황과 발전계획에 대해 설명을 듣는 시간을 가졌다.UN산하 전문기구인 국제해사기구(IMO)가 설립한 WMU의 재학생은 세계 각국의 해운·항만분야 공무원 등으로 2004년부터 실시되고 있는 방한연수 프로그램을 통해 매년 부산항을 방문하고 있다.
아랍에미리트 소재의 세계적 항만물류기업인 DP World는 최근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주에 위치한 프린스 루퍼트의 Fairview 컨테이너 터미널(현재 미국 마허 터미널 소유)을 독일 도이치 뱅크로부터 4억5천7백만 불에 사들인다고 발표했다. 이것이 이루어지면 DP World는 아시아/북미 교역에서 가장 빨리 성장하는 터미널 운영사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DP World는 캐나다 당국의 승인을 얻은 후 금년 하반기에는 합병을 완료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Fairview 컨테이너 터미널은 아시아와 북미 간을 오가는 선박들에게 가장 빠른 접근성과 북미 서부해안에서 가장 높은 생산성을 제공하며 내륙으로의 효율적인 철도 연계가 장점”이라고 DP World 대표이사인 모하메드 샤라프가 말했다.아울러 그는 장기 터미널 운영권과 이의 확장 잠재력은 DP World에 훌륭한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Fairview 컨테이너 터미널은 현재 연간 85만 TEU의 처리능력을 갖췄지만 최근 발표된 2단계 확장계획 하에 135만 TEU까지 늘어나게 된다. 터미널 운영권은 2034까지 이어지다가 확장 프로그램이 완료된 후에는 2056년까지 연장된다.DP World는 뱅쿠버항에
부산항만공사(BPA, 임기택 사장)는 여성가족부(김희정 장관)와 6일 오후 부산항 항만안내선 선상에서 학교 밖, 취약계층 청소년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양 기관은 학교 밖 그리고 취약계층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직업체험, 청소년 방과 후 아카데미 운영지원, 쉼터 입소 청소년 지원, 저소득 다문화 가정 청소년 지원 등을 통해 차등 없는 교육환경 조성 및 해양·항만분야 일자리 연계 등으로 청소년들의 다양한 사회 진출 및 사회 적응 프로그램 제공에 협력할 계획이다.아울러, 부산항만공사는 港사랑 체험교실, I Love Busan Port 등과 연계하여 학교 밖, 취약계층 청소년들에 대한 지원 프로그램을 더욱 강화할 예정이다.업무협약(MOU) 체결 후에는 양 기관 관계자들과 청소년 및 청소년 지도자 35명이 함께 BPA 港사랑 체험교실에 참가하여 부산항(북항) 현장을 둘러보는 승선체험을 하였다.임기택 사장은“BPA만의 특화된 해양·항만분야의 체험교육 기부활동과 취업 지원프로그램을 청소년정책 주무부처인 여성가족부와 협업할 수 있게 되어 기쁘게 생각한다. 항만 대표 공기업으로서 학교 밖 그리고 취약계층 청소년들이 꿈과 희망을 잃지 않도록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지원을
국제물류기업 관계자들이 대중교역의 최적항만으로 평택항을 꼽았다.경기평택항만공사(사장 정승봉)는 한국국제물류협회(회장 김병진)와 6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국제물류기업 CEO 및 임직원을 초청해 평택항 화물유치 설명회를 개최하고 평택항의 對中 물류 경쟁력을 알리며 화물유치에 박차를 가했다.이날 설명회에는 현대로지스틱스, 한솔로지스틱스, CJ대한통운, KCTC, 대우로지스틱스 등 물류기업 임직원 100여명이 참석해 한중 FTA 발효를 앞두고 평택항에 대한 높은 기대감을 나타냈다.정승봉 사장은 개회사를 통해 “평택항은 작년 총 물동량, 컨테이너, 자동차, 여객 등 각 분야별 성장세를 기록했다”면서 “한중 FTA 연내 발효와 더불어 물동량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대중 교역 최적 항만인 평택항을 통해 물류업계 여러분들과 더욱 동반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적극적인 평택항의 이용을 당부했다.이날 경기도 송유면 농정해양국장은 “경기도는 평택항 화물유치 인센티브 등 평택항 발전을 위해 재정적, 행정적 지원을 바탕으로 지역경제 발전과 함께 평택항이 동북아 물류 대표 항만으로 성장해 나가는데 최선의 노력을 다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한국국제물류협회 김병진 회장은
해양수산부(장관 유기준)는 부산남항의 해양오염퇴적물 정화사업 완료 후 지속적인 해역 관리를 위한 민·관 공동의 ‘클린 남항 추진협의회’ 제1차 실무위원회의를지난 2일 부산공동어시장에서 개최하였다.부산지방해양수산청(해양수산환경과장 윤석홍) 및 부산시(해양산업과장 박준우)가 공동 의장이 되는 ‘클린 남항 추진협의회’는 관계기관과 지역주민이 함께 맑고 깨끗한 남항을 만들고자 공동의 노력을 실천하기 위한 협의체로서 지난해 12월 12일 부산남항 정화사업 준공에 기하여 발족하였다.해양수산부는 2009년부터 6년간 285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348,702㎡의 정화면적에서 약 258,000㎥의 해양오염퇴적물과 3,000여 톤의 침적된 쓰레기를 수거·처리한 바 있다.제1차 회의에는 부산지방해양수산청, 부산시, 해양환경관리공단, 부산시 수협 및 남항을 이용하는 어촌계와 조선소 관계자 등 민·관 실무위원 25명이 참석하였으며 남항의 환경관리 활동을 위한 다양한 의견을 교환하였다. 참석자들은 부산남항의 해역오염 원인을 식별하고 해역이용자로서 이를 관리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으며, 해양환경 보전 인식 개선을 위한 홍보·교육 등 사후관리 정책을 제안하였다.한편, 실무위원회는
정보통신기술 활용, 중기청·민간기업과 온실가스 배출원배출량 목록화해 체계적 관리인천항만공사(www.icpa.or.kr, 사장 유창근)가 정보통신기술을 활용, 항만 현장에서 발생되는 온실가스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해 나가는 ‘온실가스 인벤토리 및 탄소관리시스템’을 구축한다.인천항만공사(IPA)는 중소기업청이 주관하는 민관공동투자기술개발 연구사업의 일환으로 민간기업과 함께 ‘기후변화 대응 항만 온실가스 인벤토리 및 ICT 기반 탄소관리시스템 개발’ 사업을 올해부터 2016년까지 진행될 계획이라고 지난31일 밝혔다.IPA에 따르면 온실가스 인벤토리는 현장에서 나오는 온실가스의 발생원과 배출량을 확인해 목록화한 리스트다.ICT 기반 탄소관리시스템은 국제 기준에 따라 설정 발생원별 배출량을 설정하고, ICT 기술을 활용해 발생원의 실제 배출량을 온라인을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관리하는 체계를 의미한다.IPA는 온실가스 인벤토리 및 ICT 기반 탄소관리시스템 구축을 통해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온실가스 감축 요구 등 환경 이슈에 선도적으로 부응해 나가면서, 지속가능한 항만운영 노력과 친환경 그린포트에 대한 지향을 대내외에 분명히 각인시킨다는 계획이다.우선
30일 부산항만공사(BPA, 임기택 사장)가 집계한 2015년 2월 부산항의 컨테이너 물동량은 전년동월대비 13.7% 증가한 151만5,230TEU를 기록하였다. 총 수출입 물동량은 68만2,241TEU로 전년대비 2.0% 증가하였으며, 환적화물은 83만2,989TEU로 전년대비 25.4% 증가하였다. 특히 2월에 처리한 월간 환적물동량은 역대최고치를 기록하며 물동량 성장세를 견인하였다.2월 국가별 환적화물 처리실적을 살펴보면, 중국(26만7,864TEU)·미국(11만4,835TEU)·일본(11만1,140TEU)·유럽(4만3,334TEU)순으로, 중국, 미국, 유럽은 각각 전년 동월대비 63.4%, 3.7%, 20.8% 증가한 반면 일본, 러시아는 각각 4.0%, 6.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지난 2월 부산항 신항과 북항의 물량 처리비율은 66대 34로 지난해 64대 36에서 신항 처리 비중이 소폭 상승했다. 2015년 2월 북항의 처리 물량은 51만2,133TEU로 전년동월대비 12.8% 증가한 반면, 신항은 100만3,097TEU를 기록해 14.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항만공사 박충식 운영본부장은 “금년도 부산항 환적화물 처리목표 1천만TEU
지난 2월 인천항에서 처리된 컨테이너 물동량이 지난해 같은 달 (13만9천7TEU) 대비 23.2% 증가한 17만1천301TEU로 집계됐다.30일 인천항만공사(www.icpa.or.kr, 사장 유창근)에 따르면, 2월 인천항의 컨테이너 물동량은 수입이 9만1천442TEU로 전체 물량 가운데 53.4%를 차지했다. 볼륨은 전년 동월 대비 44.9% 증가했다. 수출은 7만8천102TEU으로 7.8% 많아졌으며, 환적 및 연안 물동량은 각각 1천72TEU, 685TEU로 집계됐다.국가별로는 대 중국 교역량(99,118TEU)이 38.5%(27,548TEU) 증가했고, 베트남(14,777TEU)은 63.2%(5,725TEU), 태국(8,513TEU)은 34.3%(2,175TEU)씩 물량이 늘었다. 반면 자동차 수요 감소로 인해 폴란드 물동량이 86.9%(2,492TEU) 급감된 376TEU로 나타났다.지역별로는 극동아시아(119,456TEU) 물량이 30.6%(27,992TEU), 동남아시아(35,699TEU)가 22.7%(6,604TEU), 남미(1,677TEU)가 157.2%(1,025TEU) 씩 물량이 많아졌다.물동량의 주요 증가원인은 중국 물동량이 감소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