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일자리재단(대표이사 제윤경)은 지난 4월 발표한 ‘2021년 경기도 중장년 지원 정책’의 일환으로 중장년의 재취업을 지원하고 소득중심의 일자리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한국물류관리사협회(회장 이민우)와 30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코로나19의 대유행으로 물류산업의 경우, 온라인쇼핑 및 플랫폼 서비스 시장이 큰 증가세를 보이며 물류사무원 인력 충원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경기도일자리재단에서는 40대 이상의 조기퇴직을 비롯한 베이비부머의 본격적인 은퇴에 대비하여 중장년에 필요한 직업훈련으로 ‘ERP생산/물류관리사 양성과정’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있다. (사)한국물류관리사협회에서는 현장 경험이 풍부하고 물류관리사 시험 출제위원으로 구성된 전문 강사진을 구성하여 훈련생에게 전문교육을 제공하고 있으며, 수료 후 관련분야 취업 연계를 지원할 예정이다. 경기도일자리재단과 (사)한국물류관리사협회는 직업능력개발훈련을 통해 물류현장에 맞는 중장년 전문인력을 양성할 뿐 아니라, 다양한 기업 및 협회 등과 연계하여 구인수요를 발굴할 계획이며, 상시적인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정보교류에 적극 협력할 계획이다. ‘ERP생산/물류관리사 양성과정’은 훈련생 선발 과정을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MOF; Minister Moon, Seong-hyeok) stated that according to the revised “Regulations for the Prevention of Pollution from Ships,” the permissible nitrogen oxide (NOx) emission limit for domestic ships will be strengthened starting May 19th (Wednesday). Up to now, “Tier 1*” from the table below has been applied to domestic ships constructed in or after 2006 while “Tier 2**” has been applied to ships constructed in or after 2013. Tier 2 requires a 20% reduction in the emission of nitrogen oxides compared to Tier 1. However, when a ship’s engine was replaced wi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said it plans to develop an versatile testing platform by 2025 to join global effort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create an eco-friendly maritime industry. Global shipbuilding and shipping markets are hastening a paradigm shift from the existing bunker oil vessels to an eco-friendly ship system in response to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s tightening regulations and the EU emissions trading system.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Act on the Promotion of Environmentally Friendly Ship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in January of last y
부패성 화물(Perishable Cargoes) 운송·물류전문가 네트워크인 ‘쿨 로지스틱스(Cool Logistics’)는 지난 4월 15일 “코로나19: 글로벌 백신 물류를 위한 컨테이너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온라인 세미나를 진행했다. 세미나에서는 백신 물류에 있어 리퍼 컨테이너의 역할과 관련된 핵심 쟁점들이 주로 다루어졌다. 코로나19 상황의 긴급성으로 백신은 트럭이나 항공으로만 운송되어 왔으며, 리퍼 컨테이너는 현재 백신수송에 사용되지 않고 있다. 물류프로세스 트래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IT 기업 롬비(Romee)의 부사장이자 세계경제포럼(WEF) 고문을 맡고 있는 마이클 컬름 세이무어(Michael Culme-Seymour)는, “백신의 출하와 사용은 시급을 요하는 일이기 때문에 해상운송이 적합하지 않다는 것이 지금까지의 생각이었지만, 코백스(COVAX)나 유니세프 등과 같은 기관들은 백신의 해상운송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리퍼 컨테이너는 여러가지 백신과 인슐린 같은 약품 뿐 아니라 그 원료의 운송에도 이용된다. 현재 해상으로 운송되는 온도 제어 화물의 1~2%가 제약 관련이다. 머스크(A.P. Moller-Maersk)의 제약부문
존경하는 국내외 해운가족 여러분! 지난 1954년 4월 20일 출범한 우리 협회는 올해로 창립 67주년을 맞이하였습니다. 특히, 올해는 우리 협회 생일을 1960년 6월 20일에서 대한선주협회가 설립된 1954년 4월 20일로 소급하고, 협회명칭을 한국선주협회에서 한국해운협회로 변경한 후 첫 생일이어서 그 의미가 남다른 것 같습니다. 아시다시피, 대한선주협회 출범 당시 우리나라 외항상선대는 8여만톤에 불과했으며, 해운산업 발전을 위한 제도도 제대로 정비되지 않아 대외경쟁력은 고사하고 하루하루 생존을 걱정해야 할 정도로 해운토양이 척박하기 그지 없었습니다. 그러나, 67년이 지난 오늘날 외항상선대는 7,100만톤으로 크게 증가하여 세계 7위의 해운국으로 성장하였으며, 해운세제 및 제도도 선진해운국과 어깨를 겨룰 정도로 선진화되었습니다. 우리 해운산업이 걸어 온 발자취를 보면, 기간산업인 해운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업계의 노력도 중요하지만 정부의 정책적인 지원이 얼마나 중요한지 실감할 수 있습니다. 지난 1958년부터 해기사 병역특례제도를 통해 우수 해기인력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1961년 우리 화물은 우리 선박으로 수송한다는 일념으로 웨이버제
수에즈운하청(SCA)이 에버기븐호의 선주와 책임보험자인 UK Club을 상대로 9억1천6백만 달러(약 1조 230억 원)의 배상을 청구했다. 청구내역에는 선박구조에 대한 상여금(salvage bonus) 3억 달러와 ‘평판 손상(loss of reputation)’에 대한 보상금 3억 달러가 포함되어 있다. UK Club은 P&I 측면의 클레임은 비교적 평범한 수준이지만, ‘평판 상실’이라는 명목의 청구액은 논란의 소지가 있다고 밝혔다. 이러한 청구 금액의 세부적인 근거는 제시되지 않았다고 한다. UK Club은 “SCA의 청구액이 납득하기 어려운 규모임에도 선박의 소유주인 쇼에이 키센 카이샤(Shoei Kisen Kaisha)와 보험자들은 성실히 협상에 임했다”고 말했다. 클럽은 선박 좌초로 환경 오염이나 인명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고, 선박 구조 직후 운하가 다시 정상적으로 운영되었다는 점을 강조한다. 그들은 지난 4월 12일 SCA 측에 합의안을 제시했으나 SCA는 청구한 배상금이 지급될 때까지 선박과 선원들을 억류하겠다고 공표했다. SCA의 오사마 라비 회장은 지난주 이집트 TV를 통해 운하가 이번 사고로 인해 운송료 손실과 인양 비용 뿐 아니라
국토교통부(장관 변창흠)는 우리 물류산업의 첨단화를 위해 AI, 로봇,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이 접목된 스마트물류센터에 대한 인증제를 본격 실시할 예정이며, 인증기관인 한국교통연구원(원장 오재학)을 통해 4.9일부터 인증계획을 공고하고 다음달 10일부터 신청접수를 받는다고 밝혔다. 스마트물류센터 인증제는 첨단·자동화된 시설·장비 및 시스템을 도입하여 효율성, 안전성, 친환경성 등이 우수한 물류시설을 국가가 스마트물류센터로 인증하고 행정적·재정적 혜택을 부여하는 제도로, 지난해 물류시설법 개정을 통해 도입되었다. 스마트물류센터 인증을 받으면 스마트물류센터 건축 또는 첨단‧자동화 설비 구입에 필요한 비용을 저리로 융자 받을 수 있으며, 정부가 최대 2%p의 이자비용(‘21년 예산 103억원)을 지원한다. 또한, 스마트물류센터를 짓기 전이더라도 설계도면 등으로 예비인증을 받아 지원혜택을 받을 수 있다. 스마트물류센터 인증은 인증기준에 따라 인증심사단의 서류·현장 심사, 인증위원회 심의를 거쳐 인증여부 및 등급이 결정된다. 인증기준은 ① 입고·보관·피킹·출고 등 물류처리 과정별 첨단·자동화 정도를 평가하는 기능영역과, ② 물류창고의 구조적 성능, 성과관리
1986년 개원한 한국교통연구원(이하 ‘KOTI’)은 국무총리실 산하 국책연구기관으로, 교통과 물류산업 관련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며 정부의 정책 수립에 큰 기여를 해왔다. 우리나라 교통체계가 길지 않은 시간에 비약적으로 발전하여 세계에서 손꼽힐 정도의 선진화를 이루게 된 것에는 KOTI의 공이 크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대도시의 도시철도망 구축과 고속철도 시스템의 계획과 운영, 그리고 인천국제공항의 건설 등은 해외에도 잘 알려진 우수한 교통 SOC 사업이다. 2017년 12월 원장직을 맡아 올해 2월 연임된 오재학 원장은 현재까지 KOTI의 ‘최장수 원장’이다. 교통의 모빌리티 전환이나 기후변화 대응 등의 혁신과제에서부터 동북아 및 한반도 교통협력 증진을 위한 연구까지 다양한 프로젝트를 지휘하고 있는 그를 쉬퍼스저널이 만나 연임된 소감과 함께 최근의 교통·물류 이슈에 대해 들어보았다. KOTI 개원 이래로 최근과 같이 대내외적인 환경이 급변하는 시기는 없었던 것 같다고 그는 운을 뗐다. 4차산업혁명의 급속한 진전, 기후변화 위기 대응에 대한 국제적 요구, 중국의 급부상으로 인한 동북아의 지정학적 불확실성 증대와 남북 교통협력의 중요성 등 중차대한 변화들이 복
1986년 개원한 한국교통연구원(이하 ‘KOTI’)은 국무총리실 산하 국책연구기관으로, 교통과 물류산업 관련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며 정부의 정책 수립에 큰 기여를 해왔다. 우리나라 교통체계가 길지 않은 시간에 비약적으로 발전하여 세계에서 손꼽힐 정도의 선진화를 이루게 된 것에는 KOTI의 공이 크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대도시의 도시철도망 구축과 고속철도 시스템의 계획과 운영, 그리고 인천국제공항의 건설 등은 해외에도 잘 알려진 우수한 교통 SOC 사업이다. 2017년 12월 원장직을 맡아 올해 2월 연임된 오재학 원장은 현재까지 KOTI의 ‘최장수 원장’이다. 교통의 모빌리티 전환이나 기후변화 대응 등의 혁신과제에서부터 동북아 및 한반도 교통협력 증진을 위한 연구까지 다양한 프로젝트를 지휘하고 있는 그를 쉬퍼스저널이 만나 연임된 소감과 함께 최근의 교통·물류 이슈에 대해 들어보았다. KOTI 개원 이래로 최근과 같이 대내외적인 환경이 급변하는 시기는 없었던 것 같다고 그는 운을 뗐다. 4차산업혁명의 급속한 진전, 기후변화 위기 대응에 대한 국제적 요구, 중국의 급부상으로 인한 동북아의 지정학적 불확실성 증대와 남북 교통협력의 중요성 등 중차대한 변화들이 복
한국선급(KR, 회장 이형철)은 오는 2023년 시행될 탈탄소화 규제인 에너지효율지수(EEXI)와 탄소집약도(CII) 대응을 지원하기 위해 웹기반의「EEXI/CII 계산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5일 밝혔다. 국제해사기구(IMO)에서는 국제 해운업계의 온실가스 배출 억제를 위해 2008년 대비 온실가스 배출 총량을 50% 저감하고, 온실가스 중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2050년까지 70% 감축하는 목표(GHG Strategy)를 예고하고 있다. 이를 위한 단기 조치 중 하나로 2023년부터 현존선에 적용될 기술적 규제인 에너지효율지수(EEXI, Energy Efficiency eXisting Ship Index)와 운항적 조치인 탄소집약도(CII, Carbon Intensity Indicator)가 시행될 예정이다. 각 해운국과 선사들은 이러한 조치들에 불이익을 당하지 않기 위해 EEXI와 CII 충족을 위한 △선박의 엔진 출력 제한 △에너지 절감장치 탑재 △선형/선속/운항경로 최적화 △친환경 대체연료 사용 등 다양한 대응방안을 고심하고 있다. 한국선급은 해운선사들이 당면한 문제 해결을 지원하기 위해 탈탄소 규제 대응을 위한 별도의 조직을 신설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