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은 지난 2017년 한 해 동안 SNS와 동향 분석 자료 등을 통해 발간한 9,350여 건의 데이터와 총 6,070개 주요 단어를 바탕으로 글로벌 해양·수산의 핵심 키워드를 도출했다. 도출된 핵심 키워드는 빈도수를 기준(괄호 빈도수)으로 안전(337)’, ‘기후변화(317)’, ‘4차 산업혁명(282)’, ‘친환경·고효율(214)’, ‘무인 자동화(191)’, ‘대형화(157)’, ‘일대일로(148)’, ‘청정에너지(129)’, ‘해양 쓰레기(111)’, ‘블록체인(105)’ 순이었다. KMI는 1~10위의 키워드를 통해 2017년의 글로벌 해양·수산 트렌드를 살펴보았다. 첫째, 2017년 발생한 크고 작은 사고들은 해양·수산 전 분야에 걸쳐 ‘안전’과 ‘보안’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상기시켰다. 소말리아의 해적활동이 다시 포착되었고 주요 해운 업체의 시스템이 랜섬웨어 공격으로 인해 다운되는 등 안전과 보안과 관련된 이슈가 이따금 발생했다. 둘째, ‘기후변화’가 해양 환경과 수산자원에 미치는 영향은 2017년에도 중대한 문제로 다뤄졌다. 국제해사기구(IMO)를 중심으로 강력한 대기오염물질 규제 정책이 도입되었으며 친환경 선박 발주 확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은 지난 2017년 한 해 동안 SNS와 동향 분석 자료 등을 통해 발간한 9,350여 건의 데이터와 총 6,070개 주요 단어를 바탕으로 글로벌 해양·수산의 핵심 키워드를 도출했다. 도출된 핵심 키워드는 빈도수를 기준(괄호 빈도수)으로 안전(337)’, ‘기후변화(317)’, ‘4차 산업혁명(282)’, ‘친환경·고효율(214)’, ‘무인 자동화(191)’, ‘대형화(157)’, ‘일대일로(148)’, ‘청정에너지(129)’, ‘해양 쓰레기(111)’, ‘블록체인(105)’ 순이었다. KMI는 1~10위의 키워드를 통해 2017년의 글로벌 해양·수산 트렌드를 살펴보았다. 첫째, 2017년 발생한 크고 작은 사고들은 해양·수산 전 분야에 걸쳐 ‘안전’과 ‘보안’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상기시켰다. 소말리아의 해적활동이 다시 포착되었고 주요 해운 업체의 시스템이 랜섬웨어 공격으로 인해 다운되는 등 안전과 보안과 관련된 이슈가 이따금 발생했다. 둘째, ‘기후변화’가 해양 환경과 수산자원에 미치는 영향은 2017년에도 중대한 문제로 다뤄졌다. 국제해사기구(IMO)를 중심으로 강력한 대기오염물질 규제 정책이 도입되었으며 친환경 선박 발주 확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는 지난 10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글로벌 해양 강국 실현을 위한 해양·수산 전망과 과제'를 주제로 '2018 해양수산 전망대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는 김영춘 해양수산부 장관, 양창호 KMI 원장, 이윤재 한국해양산업총연합회 회장(흥아해운 회장) 등 정부와 해양수산업계 관계자 500여명이 참석했다. 김영춘 장관은 치사를 통해 "해운업의 위기는 진행형이고 어획량 감소로 전통 수산업 역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빠르게 변화하는 신기술들의 출현으로 해양 수산업은 패러다임의 대전환기에 놓여 있다"고 평가했다. 기조발표에 나선 양창호 원장은 올해 해양수산 10대 키워드로 ▲삶과 산업의 근간인 '안전' ▲도전이자 기회인 '기후변화' ▲해양수산 혁신을 주도하는 '4차산업혁명', ▲지속가능한 성장 모멘텀인 '친환경·고효율' ▲'무인화·자동화'로 본격화되는 스마트 경쟁 ▲시장 지배력을 확대하기 위한 '대형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글로벌 전략인 '일대일로' ▲해양 분야의 '청정 에너지' 잠재력 ▲미세할수록 위험한 '해양 쓰레기' ▲'블록체인' 열풍 등을 꼽았다. 이어진 패널토론에서 장신철 일자리위원회 일자리기획단 부단장은 안전 키워드와
한국선주협회는 지난 11일 서울 여의도 선주협회빌딩 10층 대회의실에서 해양수산부 엄기두 해운물류 국장과 선주협회 회원사 대표들이 참석한 가운데 2018년도 정기총회를 개최하고 올해 사업계획 및 예산안을 심의의결했다. 한국선주협회 이윤재 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올해가 해운산업 재건을 위한 원년으로서 해운업계의 건의사항이 대선공약으로 채택되고 “문재인 정부 국정운영 5개년 계획”에 반영되어 추진 중이며, 금년에는 그 성과가 가시화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윤재 회장은 또한, 새해에는 ▲한국해양진흥공사 설립, 국가필수해운제도, 폐선보조금제도 등 각종 정책의 차질 없는 시행 ▲메가컨테이너선사의 육성을 통한 글로벌 경쟁력 강화, 그리고 한국해운연합을 통한 선사간 협력 강화 및 근해항로 안정화 ▲수출입화물의 국적선사 적취율 향상을 위한 선화주 협력 강화 ▲2자물류의 문제점 개선 및 공정한 시장질서 확립 ▲정부의 노동정책이 해운산업발전과 양질의 일자리 창출 및 선원복지의 향상에 기여 ▲강화되는 해양환경규제에 대한 선제적 대응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적극적인 대비 등 에 집중할 것이라고 금년도 협회의 중점 추진 사항을 제시했다. 한편, 한국선주협회 회원사는 이번
김영춘 해양수산부 장관은 오는 10일 10시 서울 코엑스에서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이 주최하는 ‘2018 해양수산 전망대회’에 참석한다고 9일 밝혔다. 올해로 열 번째를 맞은 이번 대회는 해양수산 전문가와 업계가 해양수산의 시장변화를 예측하고 대응전략을 모색하기 위한 자리다. 김 장관은 치사에서, “2018년을 ‘선진 해양수산으로 도약’하는 원년으로 만들기 위해 ‘한국해양진흥공사’를 설립하여 해운강국 재건을 본격화하고, 스마트 항만·스마트 양식 등을 통한 혁신성장과 일자리 창출, 어촌 뉴딜사업으로 지역경제 활성화 및 깨끗하고 안전한 바다를 실현하는데 해양수산부의 역량을 집중 하겠다”고 밝힐 계획이다. 특히, “이번 전망대회를 통해 국내외 해양수산 변화에 선제 대응할 수 있도록 준비하여, 해양수산 산업의 혁신과 발전을 이루는 출발점이 되어 달라”고 당부할 예정이다.
독일물류협회 BVL은 도시 물류를 개선하기 위해 여러 활동을 하고 있다. 지난 2017년 3월 22일 독일물류협회 BVL은 도시 물류에 관해 연구할 팀을 구성했고 2017년 7월에 나온 독일물류협회 BVL의 매거진에서 도시 물류의 딜레마에 대해서 다루었다. 또 이 주제는 독일물류컨퍼런스에서 주요 이슈로 다루어졌다. 또,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2017년 11월에 열린 도시 물류 대회에서 도시 물류 이슈를 유럽 전역으로 확대시키는 데 기여했다. 도시 물류 연구팀을 구성하다 도시 물류 연구팀은 현실화에서 도시 물류의 전문적인 주제 및 도전과제, 해결책을 논의하기 위한 플랫폼 역할을 한다. 연구팀은 일반인에게 지속 가능하며 혁신적인 계획을 알릴 계획이다. 또, 지속 가능한 도시와 물류 개발의 관점에서 도시 물류 모든 관계자들이 열려있는 목적 지향적인 협력 물류에 대해 이해하도록 도울 것이다. 이와 관련한 이해당사자 리스트는 정부 당국과 정치계의 책임자부터 고정적인 무역, 온라인 무역, CEP(복합 이벤트 처리) 서비스 업체, 물류 서비스 업체, 도시 내 물류 부동산 개발자 등과 함께 대중교통, 응급 구조대, 폐기물 처리업체 및 일반 주민에 이르기까지 아주 길다.
독일물류협회 BVL은 도시 물류를 개선하기 위해 여러 활동을 하고 있다. 지난 2017년 3월 22일 독일물류협회 BVL은 도시 물류에 관해 연구할 팀을 구성했고 2017년 7월에 나온 독일물류협회 BVL의 매거진에서 도시 물류의 딜레마에 대해서 다루었다. 또 이 주제는 독일물류컨퍼런스에서 주요 이슈로 다루어졌다. 또,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2017년 11월에 열린 도시 물류 대회에서 도시 물류 이슈를 유럽 전역으로 확대시키는 데 기여했다. 도시 물류 연구팀을 구성하다 도시 물류 연구팀은 현실화에서 도시 물류의 전문적인 주제 및 도전과제, 해결책을 논의하기 위한 플랫폼 역할을 한다. 연구팀은 일반인에게 지속 가능하며 혁신적인 계획을 알릴 계획이다. 또, 지속 가능한 도시와 물류 개발의 관점에서 도시 물류 모든 관계자들이 열려있는 목적 지향적인 협력 물류에 대해 이해하도록 도울 것이다. 이와 관련한 이해당사자 리스트는 정부 당국과 정치계의 책임자부터 고정적인 무역, 온라인 무역, CEP(복합 이벤트 처리) 서비스 업체, 물류 서비스 업체, 도시 내 물류 부동산 개발자 등과 함께 대중교통, 응급 구조대, 폐기물 처리업체 및 일반 주민에 이르기까지 아주 길다.
LOC는 보다 나은 국제 협력과 해양 사고를 관리하는 프로세스를 신속하고 단순화 하기 위한 해양 조사 규정을 요구한다. 해양 사고 시 너무도 빈번히 지역의 관할 구역은 준비가 되어 있지 않으며 이해 및 협조가 부족하고, 그 결과 사고처리 프로세스가 너무 오래 걸리고 이는 결국 환경, 선박의 승무원 또는 손상된 선박에 부정적인 결과를 일으키고 있다. 문제는 지방 당국이 관할권의 한계를 알지 못하고 문제를 제기 할 권한이 없는 상태에서 사상자의 권한을 떠맡을 때 발생하게 된다. 수사 또는 난파선 제거 과정에 결함이 있거나 마스터가 감옥에 갇히거나 구금 된 곳에서 그리고 수년 동안 접지되거나 손상된 선박의 복구가 실행되는 케이스에서 너무도 많은 사례가 발생했다. LOC의 아시아 회장인 존 워커씨는 이러한 문제가 IMO가 주도하는 해양 조사 규정을 통해 해결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규정은 어떤 사건이 발생하기 전에 주권 국가가 정부와의 관할권을 명확히 하게 한다. 즉각적인 여파로 첫 번째 응답자는 누구를 처리해야 하며 자신의 권한의 한계를 정확히 알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해상 조사 규정은 모든 당사자들로부터 최상의 응답을 보장하는 국경을 초월한 투명하고 일관된
LOC는 보다 나은 국제 협력과 해양 사고를 관리하는 프로세스를 신속하고 단순화 하기 위한 해양 조사 규정을 요구한다. 해양 사고 시 너무도 빈번히 지역의 관할 구역은 준비가 되어 있지 않으며 이해 및 협조가 부족하고, 그 결과 사고처리 프로세스가 너무 오래 걸리고 이는 결국 환경, 선박의 승무원 또는 손상된 선박에 부정적인 결과를 일으키고 있다. 문제는 지방 당국이 관할권의 한계를 알지 못하고 문제를 제기 할 권한이 없는 상태에서 사상자의 권한을 떠맡을 때 발생하게 된다. 수사 또는 난파선 제거 과정에 결함이 있거나 마스터가 감옥에 갇히거나 구금 된 곳에서 그리고 수년 동안 접지되거나 손상된 선박의 복구가 실행되는 케이스에서 너무도 많은 사례가 발생했다. LOC의 아시아 회장인 존 워커씨는 이러한 문제가 IMO가 주도하는 해양 조사 규정을 통해 해결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규정은 어떤 사건이 발생하기 전에 주권 국가가 정부와의 관할권을 명확히 하게 한다. 즉각적인 여파로 첫 번째 응답자는 누구를 처리해야 하며 자신의 권한의 한계를 정확히 알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해상 조사 규정은 모든 당사자들로부터 최상의 응답을 보장하는 국경을 초월한 투명하고 일관된
LOC is calling for better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a marine investigation code to speed and simplify the process of managing a marine casualty. Too often local jurisdictions are unprepared, lacking in understanding and unwilling to cooperate, and as a result the process takes too long, with a negative outcome for the environment, the vessel’s crew or the damaged ship. Problems arise when a local authority does not know the limit of its jurisdiction and assumes authority of a casualty when they have no right to do so. There are too many examples of where the recovery of a grounded or dama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