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 감만부두의 대한통운과 허치슨 터미널이 7월부터 통합 운영된다.
대한통운과 허치슨은 각각 50%씩 지분을 출자해 신설법인인 부산감만컨테이너터미널(BGCT)를 설립, 하역서비스 제공과 선석배정, 게이트 관리 등 터미널 운영 전반을 총괄하게 된다.
BGCT는 6월말 설립 등기를 마치고 펜스 철거 등 선석 및 야드 통합을 완료해 7월초부터 본격운영에 들어가고, 전산과 인력은 각각 2007년, 2008년까지 통합을 완료하게 된다.
그동안 4선석으로 이뤄진 감만부두는 세방*한진*대한통운*허치슨 등 4개 운영사에 의해 1선석씩 분리*운영되면서 대형선 기항급증과 항만간 경쟁 격화 등의 급격한 항만환경 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해왔다.
특히 선박의 대형화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으나 단일선석 체제는 350m의 여유공간 밖에 확보하지 못해 340m에 달하는 8000teu급 이상 선박을 유치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있어왔다.
또 1개 업체 1개 선석운영은 부두 운영의 효율성을 떨어뜨리고 하역장비의 공동활용을 막아 부산항의 생산성과 경쟁력을 떨어뜨리는 요인 중의 하나였다.
해양수산부 강무현 차관은 “지난해 통합한 한진*세방터미널의 선석생산성이 시간당 83Van(컨테이너 운반갯수)에서 105Van으로 향상되는 등 큰 효과를 보고 있다”며 “이번 통합은 부산항의 운영시스템을 획기적으로 개편해 항만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좋은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광양항 1단계=광양항 1단계 부두는 동부건설에서 통합운영하게 된다.
광양항의 경우 대한통운이 3-1단계 운영사로 선정돼 1단계부두를 반납하기로 함에 따라 1단계 허치슨 부두와 2-1단계 동부건설 부두의 선석교환(Swapping)을 통해 선석 통합 효과를 달성할 계획이다.
이 경우 대한통운의 1단계 부두 운영권을 동부건설에 인계해 동부에서 1단계 2선석을 운영하고, 허치슨이 2단계 부두를 통합해 운영하게 된다.
광양항 3-1단계=광양항 3-1단계 운영사로 선정된 대한통운 컨소시엄이 7월초 법인을 설립한다.
대한통운과 STX Panocean은 최근 법인설립을 위한 준비를 완료하고 7월 초 (가칭)‘광양서부두컨테이너터미널’을 설립하기로 했다.
광양항 3-1단계를 운영하게 될 광양서부두컨테이너터미널은 올해 12월까지 신형 겐트리크레인 4대와 광양항 1단계에서 사용하던 겐트리크레인 1대를 추가하여 총 5대를 도입, 2007년 초부터 단계적으로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이후 3~4월 추가로 4대를 더 도입할 경우 광양항 3-1단계는 본격적인 운영이 가능하게 된다.
광양항 1단계 대한통운 부두에서 사용하던 겐트리크레인 총 3대중 1대는 대한통운이 3-1단계에서 사용하고, 나머지 2대는 1단계 부두운영사인 동부건설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보근 기자 jerryp@
김은비 기자
Copyright @2009 MyMedia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