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의 항만물류정책에 거센 반발

  • 등록 2013.04.24 17:13:37
크게보기

5년 만에 새로 출범한 해양수산부에 불협화음이 이어지고 있다. 장관 인사청문회에서 자질논란으로 홍역을 치르더니 이번에는 항만 발전구상을 놓고 반발이 거세게 일고 있다. 시발지는 광양. 지역 정치인과 언론, 주민들이 해양수산부의 항만정책에 광양 홀대가 확연하게 드러났다고 반발하고 있다.

광양-부산 투 포트 체제에서 부산 원 포트로 전환하고 있다는 게 요지다. 해양수산부가 19일 청와대에서 박근혜 대통령에게 첫 업무 보고한 내용으로는 부산항을 동북아 물류중심 항만과 지역 경제발전의 거점으로 육성하겠다고 밝혔다부산항에 각종 인센티브를 부여하고, 배후단지 조성과 수산클러스터 등도 함께 조성한다는 방침이다그러면서 양 항체제의 한 축이었던 광양항에 대해서는 이렇다 할 언급조차 없었다

광양이 지역구인 민주당 우윤근(사진) 의원은 성명서를 내고 "광양항에 대해서는 항만물류를 위한 아무런 계획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면서 이는 광양항 소외정책으로 규정할 수밖에 없다.”고 비판했다.

이어 국토균형발전 측면에서 접근해줄 것을 촉구했다.

최근 해양수산부가 지금까지 일관되게 유지해온 광양·부산항 중심의 ‘투 포트(Two-Port) 항만 정책’을 사실상 부산항 원 포트 계획에 대한 반발이다국제물류 거점 육성의 투 포트 시스템이 무너지면 광양항은 부산항에 치여 뒷전으로 밀릴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지역 언론들도 해양수산부 정책비판에 가세하고 있는 모양새다.
이번 보고에서 해양수산부가 내놓은 것은 전남에 수산분야를 집중하여 육성해 수산업을 미래 산업화하겠다는 계획안이다하지만 이마저도 대부분 전라남도의 역점사업과 겹치고, 아이디어를 모방한 프로젝트일 뿐이다특히, 해양수산부 산하 핵심 관련 기관 9곳 가운데 본청을 전남에 둔 곳은 하나도 없는 실정이다국립수산과학원과 국립해양조사원, 수산인력개발원 등이 부산에 있는 마당에 수산분야 육성이라는 건 달래기나 생색내기용이라는 인상을 지울 수 없다는 게 지역 언론들의 주장이다

 

글 쉬퍼스저널

김은비 기자
Copyright @2009 MyMedia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주)미디어케이앤 서울특별시 서초구 법원로3길 19, 2층 2639호 Tel: 02)3411-3850 등록번호 : 서울, 다 06448, 등록일자 : 1981년 3월 9일, 발행인/편집인 : 국원경(010-9083-8708)
Copyrightⓒ 2014 미디어K& All Right Reserved.